
미쓰비시상사는 27일 아키타현과 지바현 앞바다 등 총 3개 해역에서 계획 중인 해상풍력발전 사업에 대해 “철수를 포함한 모든 가능한 선택지를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다.
미쓰비시는 전날 요미우리, 산케이 등 일본 언론들이 보도한 프로젝트 철수 조정에 들어갔다는 소식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로서는 정확하게 결정된 사실은 없다고도 덧붙였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21년 입찰을 통해 해상풍력 사업자를 공모했고 미쓰비시상사와 주부전력(中部電力) 등의 기업 연합이 낙찰받았다. 당시 전력 판매 가격은 정부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킬로와트시당 11.99~16.49엔을 제시했다.
미쓰비시상사는 지난 2월 522억 엔의 손실을 계상하면서, 엔저와 공급망 긴축, 금리 상승 등 해상풍력 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전 세계에서 크게 변화하고 있다며 사업성을 재평가 중이라고 발표했다.
나카니시 가쓰야 미쓰비시상사 사장은 지난 2월 기자회견을 통해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미쓰비시상사가 철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은 자재 가격 상승으로 건설 비용이 증가해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추진된다 하더라도 수익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발전과 해상풍력 확대 지원 사업도 난항에 빠질 가능성이 커졌다.
일본 정부는 2월 각료회의 후 제7차 에너지 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하고 전원 구성에 차지하는 풍력 발전 비율을 23년도 1.1%에서 40년도에 4~8% 정도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제시했다. 해당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해상풍력 보급이 필수적인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해상풍력발전 사업에서 수익성을 우려하는 기업 철수를 막기 위해 지원책 등을 검토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