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소액 면세’ 종료 후 직구 소비자 대혼란…주문 취소·배송 지연 속출

글로벌이코노믹

美 ‘소액 면세’ 종료 후 직구 소비자 대혼란…주문 취소·배송 지연 속출

워싱턴포스트 “중국·한국 등 아시아 지역서 저가 제품 직구하던 소비자들이 가장 큰 타격”
지난달 20일(현지시각) 미국 오리건주 웨스트린에서 UPS 배송 기사가 배달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달 20일(현지시각) 미국 오리건주 웨스트린에서 UPS 배송 기사가 배달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미국에서 저가 수입품에 관세를 매기지 않던 ‘소액 면세’ 규정이 종료되자 온라인 직구 소비자들 사이에서 주문 취소와 배송 지연 사태가 잇따르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달 31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규정은 800달러(약 111만원) 이하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도록 한 제도로 지난달 29일 밤 자정에 효력이 끝났다. 종료 이후부터는 금액과 무관하게 원산지 국가의 관세율(10~50%)이나 고정세율로 80~200달러(약 11만~27만원)가 적용된다.

WP에 따르면 이 규정 종료 직후 아마존, 이베이 등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는 주문이 갑자기 취소되거나 배송이 지연됐다는 불만이 소비자 게시판에 쏟아졌다.

특히 중국·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 저가 제품을 직구하던 소비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고 있으며 일부 소비자는 “결제는 완료했는데 물류창고에서 출고가 멈췄다”는 사례를 전하기도 했다.

소규모 판매자와 해외 배송업체들도 새 관세 규정에 대응하지 못해 혼란을 겪고 있다. 물류업체 관계자는 “세금 계산 방식이 달라지면서 통관 서류를 다시 제출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며 “처리 지연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UPS와 페덱스 같은 대형 운송업체들도 새로운 절차 적용을 위해 긴급하게 시스템을 손보는 상황이다.

이 같은 혼란은 소비자 물가에도 직격탄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중소 무역업체들은 “관세 부담을 소비자 가격에 반영할 수밖에 없다”며 결국 온라인 쇼핑 가격 상승과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단순히 세제 변화에 그치지 않고 미국 소비자들의 생활 패턴과 글로벌 전자상거래 구조 자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고 WP는 전했다. 특히 직구 의존도가 높은 의류·전자제품 분야에서 가격 급등과 공급 차질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