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건강보험료 15년 만에 최대폭 인상…트럼프 관세도 한몫

글로벌이코노믹

美, 건강보험료 15년 만에 최대폭 인상…트럼프 관세도 한몫

미국 캘리포니아주 사이프러스에 위치한 유나이티드헬스케어 본사. 유나이티드헬스케어는 미국 최대 보건·보험 기업 지주사인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의 자회사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사이프러스에 위치한 유나이티드헬스케어 본사. 유나이티드헬스케어는 미국 최대 보건·보험 기업 지주사인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의 자회사다. 사진=로이터

미국 건강보험사들이 내년 보험료를 1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릴 전망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물가와 생활비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일부 보험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인상 요인으로 지목했다.

FT에 따르면 컨설팅업체 머서는 미국 기업들이 내년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건강보험료가 평균 6.5%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000년대 후반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또 비영리 단체 KFF는 정부 보험거래소를 통해 개인이 가입하는 보험의 내년 중간 인상률을 18%로 예상했다. 정부 보험거래소는 한국의 건강보험공단처럼 단일 국가보험이 아니라 미국 정부가 만든 온라인 보험 장터에서 민간 보험을 사고 정부 보조를 받는 제도를 말한다. 이는 지난해 기록한 7%의 두 배를 넘는 수준이다.

◇ 보험사 “관세 불확실성 반영”


미국 최대 보험사인 유나이티드헬스는 메릴랜드·오리건에서 보험료를 각각 2.4%, 2.7% 인상한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제약 생산의 미국 회귀 비용을 반영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오하이오에서는 위험할증률을 0.5% 높였다. FT는 “소비자들이 이 불확실성의 대가를 고스란히 부담하고 있다”는 KFF 분석을 전했다.

◇ 주정부 반발 확산


S&P 500에서 올해 세 번째로 성과가 나쁜 센티네는 보험료를 최대 54% 올리겠다고 제안해 논란을 불렀다. 센티네는 메디케이드, 메디케어 같은 저소득층·고령층 대상 보험이 주력인 대형 건강보험사다. 이에 사라 허커비 샌더스 아칸소 주지사는 “수십억달러 규모 보험사가 터무니없는 요금을 청구하고 있다”며 주 보험감독 당국에 인상안을 거부할 것을 촉구했다.

◇ 관세 여파·ACA 불확실성 겹쳐


FT는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고율 관세 정책이 의외로 의료보험료에도 파급력을 미치고 있다고 전했다. 유나이티드헬스는 관세 불확실성을 이유로 일부 보험 인상안을 설명했지만 정작 올해 규제 보고서에는 관련 리스크를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의료비 자체 상승과 메디케어 청구 관련 형사 수사로 실적이 악화됐다고 밝혔다.

한편, 오바마케어(ACA) 가입자는 올해 약 2400만명에 이르지만 보험료 세액공제 혜택이 연말 종료를 앞두고 있어 보험사들이 건강한 가입자를 잃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ACA는 지난 2010년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이 추진해 제정된 전국 단위 건강보험 개혁법이다.

FT는 “여기에다 전기, 가스, 수도, 지역난방 등과 같은 공공 서비스를 공급하는 회사인 유틸리티 기업들이 올해만 290억 달러(약 39조7300억 원) 규모의 요금 인상을 추진하는 등 물가 전반에 압력이 커지고 있다”면서 “보험료 급등은 미국 가계 부담을 한층 가중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