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GMA' 주축으로 현대모비스·글로비스 등 동반 진출
2031년까지 8500명 고용 조건…2조 원대 세제 혜택
2031년까지 8500명 고용 조건…2조 원대 세제 혜택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인근에 건설 중인 전기차(EV) 전용 공장 '메타플랜트'는 단순한 완성차 조립 공장을 넘어, 그룹 핵심 계열사와 협력사들이 한곳에 모인 거대한 공급망 복합 단지다. 최근 불거진 연방정부의 노동법 위반 조사는 역설적으로 이곳의 복잡하고 유기적인 구조를 드러내는 계기가 됐다고 탐사 전문 매체 더 커런트가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2년 전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가 발표한 이 프로젝트는 약 80억 달러(약 11조 원) 규모의 투자와 80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을 약속한 조지아주 역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 개발 사업이다. 하지만 지난주 연방정부가 메타플랜트와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 공장을 급습해 외국인 근로자 475명(한국인 약 300명 포함)을 연행하면서, 복잡한 하청 및 고용 구조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 완성차부터 부품·물류까지…'하나의 팀'
2300에이커(약 930만㎡) 부지에 들어서는 메타플랜트는 전기차 생산을 위한 완결형 공급망을 갖추고 있다. 완성차 생산을 총괄하는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중심으로 각기 다른 법인들이 유기적으로 얽혀있다.
◇ 8500명 고용·평균 연봉 8천만 원 약속
이들 기업은 조지아주로부터 약 20억 달러(약 2조8000억 원) 규모의 세금 공제 및 감면 혜택을 받는 대신, 엄격한 투자 및 고용 조건을 이행해야 한다. HMGMA와 배터리 공장, 그리고 5개의 주요 공급사는 2031년까지 총 55억4500만 달러(약 7조8000억 원)를 투자하고, 최소 8500명의 인력을 고용해야 한다.
고용 인력의 평균 연봉은 5만8105달러(약 8100만 원)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건도 붙었다. 올해 3월 중순 기준으로 현장 전체 고용 인력은 (한국인 제외) 약 1200명 수준이다.
현대차는 연방정부의 조사가 시작되자 고위 임원을 파견해 협력사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배터리 공장과 5개 하청업체를 대상으로 시작됐지만, 여러 회사가 복잡하게 얽힌 고용 구조 탓에 책임 소재를 가리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