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중국-인도 무역 880억 달러 돌파…트럼프 관세에 맞선 '용과 코끼리' 협력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중국-인도 무역 880억 달러 돌파…트럼프 관세에 맞선 '용과 코끼리' 협력

SCO 정상회의서 전략적 장기 관점 합의, 글로벌 사우스 연대로 미국 견제 나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왼쪽)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각) 중국 톈진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왼쪽)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각) 중국 톈진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이 인도와 관계 개선을 위한 새로운 협력 틀을 제안하며 양국이 "용과 코끼리가 함께 춤추는" 파트너십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고 인디아투데이가 지난 22(현지시각) 보도했다.

인도 콜카타 주재 중국 총영사대리 친용(Qin Yong)은 지난 19일 인도문화관계위원회에서 열린 '변화하는 지정학, 인도-중국 관계의 새로운 틀'을 주제로 한 세미나에서 "최근 양국 정상급 회담이 새로운 출발점을 마련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상회담 후 협력 파트너 관계 전환 합의


친용 총영사대리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7년 만에 중국을 찾아 최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한 결과를 내세웠다.

그는 "양국 지도자들이 새로운 중요한 공통 이해에 도달했으며, 중국과 인도 관계를 전략과 장기관점에서 바라보고 처리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양국이 서로를 경쟁자가 아닌 협력 파트너로, 위협이 아닌 발전 기회로 인식하기로 했다""용과 코끼리가 함께 춤추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친용은 양국 교역 증가를 근거로 서로 의지하는 관계가 깊어졌다고 내세웠다. 그에 따르면 2025년 첫 7개월간 양국 교역량은 880억 달러(1227400억 원)에 이르러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5% 늘었다. 그는 "서로 이익이 되는 협력을 강화해야만 중국과 인도가 윈-윈 결과를 이루고 함께 발전할 수 있다""양국 경제 생산량을 합치면 이미 아시아 전체의 절반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SCO 통해 에너지·디지털 경제 협력 확대


친용은 최근 열린 SCO 정상회의를 "역대 최대 규모"라고 평가하며 인도 역할을 치하했다. 그는 "당시 SCO 순환 의장국이자 정상회의 주최국인 중국이 인도로부터 전폭 지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톈진 선언, SCO 개발은행 설립 결정, 새로운 협력 틀 구축 등을 "SCO 회원국과 파트너들에게 중국의 새로운 발전과 함께하는 새로운 기회"라고 설명했다. 이 틀 안에서 베이징과 뉴델리가 "지속가능한 에너지 개발, 녹색 산업, 디지털 경제, 과학기술 혁신, 고등교육 및 직업기술교육"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양국은 실질적인 관계 정상화 조치들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티베트 성 카일라스 만사로바르 순례를 다시 열었고, 인도는 중국인 관광 비자 발급을 재개했다. 중국 본토와 인도 간 직항편도 조만간 다시 운항할 예정이라고 친용은 전했다.

글로벌 사우스 공동이익 수호를 위한 다극화 추진


친용은 양자 관계를 더 넓은 글로벌 맥락에서 다뤘다. 올해가 중국 항일전쟁과 세계 반파시즘 전쟁 승리 80주년, 유엔 창설 80주년이라는 점을 상기시키며, 중국과 인도가 과거 "파시즘에 맞서 싸우고 민족 독립과 해방을 위해 노력하며 손을 잡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진핑 주석의 새로운 글로벌 거버넌스 방안이 "인도를 포함한 참여국들로부터 높은 평가와 적극적인 지지를 받았다"고 언급했다.

친용은 "글로벌 사우스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중국과 인도는 더욱 공정하고 평등한 글로벌 거버넌스 체제를 추진하고, 평등하고 질서 있는 다극화 세계와 보편적으로 도움이 되고 포용적인 경제 글로벌화를 옹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모든 형태의 관세 및 무역 전쟁에 단호히 반대하고, 개발도상국의 공동이익을 수호하며, 글로벌 사우스의 집단 부상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에 최대 50%의 고율 관세를 물리면서 양국 관계가 냉각된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관세 압박이 오히려 중국과 인도 관계 개선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