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의 UAE 엔비디아 칩 거래 지연…젠슨 황 불만 고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의 UAE 엔비디아 칩 거래 지연…젠슨 황 불만 고조

엔비디아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엔비디아 로고. 사진=로이터

미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지난 5월 발표한 ‘엔비디아 AI 칩 대규모 수출 합의’가 다섯 달째 진전이 없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백악관 일부 인사들의 불만을 키우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가 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UAE의 미국 내 투자 이행을 먼저 요구하면서 칩 수출 인허가가 지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 합의 지연과 투자 요구


양측의 합의에 따르면 UAE는 미국에 투자하고 그 대가로 연간 수십만 개 규모의 엔비디아 칩을 공급받기로 했다. 그러나 상무부 인허가가 관문인 만큼 러트닉 장관이 투자를 확정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세우며 속도가 늦춰졌다고 WSJ는 전했다.
지난 여름 동안에는 UAE와 중국의 밀착 관계가 안보 우려로 부각돼 칩이 중국 AI 산업으로 흘러들 수 있다는 의심도 제기됐다. 미 정부 관계자는 UAE가 투자와 칩 물량을 1대1로 맞추는 구조를 협의 중이며 연말까지 최소 10억 달러(약 1조3700억 원)를 투자하고 그에 상응하는 칩 물량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러트닉의 전방위 딜메이킹


WSJ에 따르면 러트닉은 트럼프 행정부의 ‘투자-기술 맞교환 전략’을 주도하고 있다. 일본의 5500억 달러(약 753조5000억 원) 미국 투자 계획을 상무부 산하 펀드로 유치했고 연방 보조금 90억 달러(약 12조3300억 원)를 활용해 인텔 지분을 확보했다. 또 엔비디아에 중국향 H20 칩 매출의 15%를 정부에 납부하라는 요구도 있었으며 업계에서는 사실상의 수출세라는 지적이 나왔다. 미 행정부는 이와 별개로 H-1B 비자 신청자에게 10만 달러(약 13억7000만 원)의 신규 수수료를 부과해 논란을 빚었다.

◇ 엔비디아의 불만과 향후 변수


젠슨 황은 공개적으로는 러트닉 장관을 높이 평가했지만 내부적으로는 절차 지연과 방식에 대한 불만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AI 총괄 역시 합의가 지체되는 데 아쉬움을 표했다는 전언이다. 합의에 따라 대부분의 칩은 UAE에 진출한 미국 기업들에 공급될 예정이나 아부다비 AI 기업 G42로의 직접 납품은 당분간 보류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UAE를 방문한 자리에서 미·UAE 간 2000억 달러(약 274조 원) 거래를 강조하며 미국 AI 기술 수출 전략을 홍보했지만 이번 지연은 행정부의 ‘공급망 재편 구상’이 얼마나 빠르게 성과로 이어질지에 대한 시험대가 되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