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조기 총선거 대신 새로운 총리를 이르면 48시간 내에 임명할 계획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9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전 총리는 이날 프랑스 공영방송 프랑스2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새 총리를 임명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며 “의회 해산 가능성은 점점 줄고 있다”고 말했다.
르코르뉘는 지난 6일 사임했으나 마크롱 대통령의 요청으로 각 정당과의 협의 임무를 이어왔다.
◇ 의회 내 예산 합의 ‘실마리’ 잡혀
프랑스 대통령실은 “마크롱 대통령이 향후 이틀 안에 새 총리를 지명할 것”이라고 확인했다.
프랑스는 지난해 조기 총선 이후 중도연합이 하원 다수당 지위를 상실하면서 정치 교착이 심화됐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후 세 명의 총리를 임명했지만 재정적자 축소와 개혁 추진 등에 실패하며 잇따라 사퇴했다.
◇ 차기 총리 ‘기술관료형’ 유력…연금개혁은 후퇴 가능성
FT는 르코르뉘가 “2027년 대선을 염두에 두지 않은 기술관료형 인물이 적합하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정치적 중립 성향의 경제관료 또는 재정 전문가가 차기 총리 후보로 거론된다.
다만 2023년 논란이 된 연금개혁(정년 62세→64세 상향)은 차기 정부 구성 과정에서 재검토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르코르뉘는 “연금개혁은 분열적 사안이며 최소한 재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극우·극좌 진영은 조기총선 요구
하원 내 다수 세력은 조기총선 회피에 동의했지만 마린 르펜이 이끄는 극우 ‘국민연합(RN)’은 조기총선을, 극좌 ‘굴복하지 않는 프랑스(LFI)’는 마크롱 대통령의 사임을 각각 요구하고 있다.
정치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되자 이날 프랑스 증시 CAC40 지수는 1.1% 상승 마감했으며 10년물 국채금리는 0.05%포인트 하락한 3.52%를 기록했다. 다만 독일 국채 대비 금리차(스프레드)는 0.83%포인트로 2012년 이후 최고 수준 근처에서 여전히 긴장된 시장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