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3대 완성차 제조업체 가운데 하나인 GM가 미국 연방정부의 전기차 세액공제 제도 종료 이후에도 세금 환급 혜택을 연장하려 했던 자체 프로그램을 의원 반발 속에 전격 취소했다고 로이터통신이 9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GM은 당초 지난달 말 세제 혜택 만료 이후에도 소비자들이 7500달러(약 1030만원)의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도록 자회사 GM파이낸셜을 통해 딜러 재고 차량을 일시 매입한 뒤 리스 상품에 공제액을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딜러 재고 완화 취지였으나 정치권 반발
GM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세제 혜택 종료로 인한 딜러 재고 압박을 완화하려 했다. 리스용 차량 약 2만대에 대해 차량당 최대가의 5%를 GM파이낸셜이 선지급해 세제 혜택분을 소비자 렌트료에 반영하는 방식이었다. 예컨대 차량 가격이 6만달러(약 8250만원)인 쉐보레 블레이저 EV 2대의 경우 약 6300달러(약 865만원)의 선지급금이 반영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GM의 계획은 사실상 세제 만료 시점을 우회해 공제 혜택을 연장하려는 꼼수로 해석되며 정치권의 압박을 받았다. 모레노 의원은 “세금 지원은 이미 종료됐다. 자동차 업계 전체가 같은 규칙을 따라야 한다”며 GM의 결정을 환영했다.
GM은 대신 이달 말까지는 자체 재원을 투입해 리스 인센티브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장기적으로는 공제 대신 가격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겠다”고 설명했다.
◇포드도 유사 프로그램…전기차 시장 타격 우려
로이터에 따르면 포드자동차도 세제 만료 직전 GM과 유사한 리스 프로그램을 준비했지만 현재 지속 여부는 불투명하다.
전문가들은 연방 세액공제 종료로 전기차 시장의 단기 충격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한다. 미국에서는 세제 종료 직전 전기차 수요가 급증하며 지난달 기준 전기차 판매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이후에는 판매 급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GM은 2023년 이후 전기차 부문 적자를 줄이기 위해 배터리 생산비 절감과 차세대 볼트 EV 개발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이번 세제 종료와 리스 지원 중단으로 단기 실적 압박이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는 GM이 당초 이 프로그램을 통해 연말까지 세제 효과를 유지하려 했으나 정치적 논란을 감수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