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손정의, 휴머노이드 로봇 전략 강화...ABB·에질리티 등 54억 달러 대규모 투자 가속

글로벌이코노믹

손정의, 휴머노이드 로봇 전략 강화...ABB·에질리티 등 54억 달러 대규모 투자 가속

소프트뱅크, 물리적 AI 생태계 장악 나섰다···인수 논의부터 시작 펀딩 참여로 선회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54억 달러 규모의 ABB 로봇 부문 인수를 추진하고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애질리티 로보틱스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피지컬 AI' 비전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는 과거 '페퍼'의 실패를 거울삼아 산업용과 가정용 로봇 시장을 동시 공략, 인공지능과 물리적 세계의 융합을 이루겠다는 손정의 회장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54억 달러 규모의 ABB 로봇 부문 인수를 추진하고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애질리티 로보틱스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피지컬 AI' 비전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는 과거 '페퍼'의 실패를 거울삼아 산업용과 가정용 로봇 시장을 동시 공략, 인공지능과 물리적 세계의 융합을 이루겠다는 손정의 회장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사진=로이터
소프트뱅크그룹이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공격적인 자금 투입에 나섰다.

지난 23(현지시각) 디 인포메이션이 보도 내용에 따르면, 소프트뱅크는 지난해 말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에질리티 로보틱스의 9억 달러(12900억 원) 규모 인수를 논의했으나, 최종적으로 175000만 달러(25000억 원) 기업가치 기준 투자 라운드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조정했다. 동시에 스위스 자동화 기업 ABB의 로봇 사업부를 537500만 달러(77300억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하면서, 손정의 회장이 구상하는 초인공지능(ASI) 생태계 구축의 핵심 전략이 구체화되는 모습이다.

물리적 AI로 진화하는 소프트뱅크의 로봇 전략


손정의 회장은 이번 ABB 인수와 관련해 "소프트뱅크의 다음 개척지는 물리적 AI"라며 "ABB 로보틱스와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과 인재를 결합해 인공 초지능(ASI)과 로봇을 융합하는 공동 비전을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ABB 로봇 사업부는 연 매출 23억 달러(33000억 원) 규모로 전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2위권을 차지하는 거대 기업이다. 이번 인수로 소프트뱅크는 7000명의 엔지니어와 50만 대의 설치 로봇, 글로벌 서비스 네트워크를 확보하게 된다. 거래는 2026년 중반에서 후반 완료될 예정이다.

에질리티 로보틱스는 오리건주립대 로봇공학 교수 조너선 허스트가 공동 창업한 기업이다. 지난해 3월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출신이자 증강현실(AR) 기업 매직 리프 전 최고경영자(CEO)였던 페기 존슨이 CEO로 취임했다. 에질리티의 주력 제품인 휴머노이드 로봇 '디지트'는 키 175센티미터, 무게 42킬로그램으로 창고에서 박스를 옮기는 등 산업용 물류 작업을 수행한다.

디지트는 이미 상업적 배치를 시작했다. 아마존 워싱턴주 섬너 물류센터에서 소수의 디지트가 박스를 옮기고 있으며, 독일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셰플러 그룹과 물류기업 GXO에서도 작업 중이다. 고객은 로봇을 구매하거나 통합, 소프트웨어, 유지보수가 포함된 월 구독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에질리티는 2027년 초까지 사람과 함께 작업할 수 있을 만큼 안전한 로봇을 선보일 계획이다.

과거 실패를 딛고 재도전하는 소프트뱅크의 집념


소프트뱅크는 2021년 로봇개 등으로 유명한 보스턴다이내믹스 지분 80%를 현대차그룹에 매각한 이후 휴머노이드 제조사를 소유하지 않았다. 이번 에질리티와 ABB 투자는 손 회장이 물리적 AI 생태계 전반을 장악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소프트뱅크는 지난 2년간 가정용 휴머노이드를 개발하는 1X 테크놀로지스, 다양한 로봇 형태에 적용 가능한 AI 모델을 개발하는 스킬드 AI에도 투자했다. 스킬드 AI는 지난 1월 소프트뱅크로부터 5억 달러(7100억 원) 투자를 유치해 기업가치 40억 달러(57500억 원)를 인정받았다.

소프트뱅크는 올해 8월 모든 로봇 투자를 하나의 지주회사로 통합한다고 밝혔다. 소프트뱅크그룹이 58.7%, 비전펀드2호가 41.3%를 보유하는 구조다. 이는 손 회장이 로봇 사업을 장기 전략 자산으로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손 회장의 로봇 관심은 오래됐다. 소프트뱅크는 2014년 휴머노이드 로봇 '페퍼'를 공개하며 큰 기대를 모았으나, 2020년 생산을 중단했다. 페퍼를 제조한 프랑스 기업 알데바란은 올해 초 파산 신청을 했다.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로봇 피자 제조업체 줌도 2023년 문을 닫았다.

전 소프트뱅크 임원 알록 사마는 "손 회장의 지능형 로봇 비전은 당시 기술보다 앞서 있었다""이제 우리는 그의 비전에 훨씬 더 가까워졌다"고 평가했다.

물리적 AI, 8경 원대 시장의 핵심 열쇠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급성장이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퓨처마켓인사이츠는 휴머노이드 시장이 202578억 달러(112100억 원)에서 20351819억 달러(2615700억 원)로 연평균 3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른 조사기관인 ABI리서치는 2030년까지 65억 달러(93400억 원) 규모로 성장하며,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138%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잠재 시장 규모가 203560조 달러(8625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휴머노이드 로봇 지지자들은 사람이 수행하는 물리적 작업을 대신하기에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선반은 눈높이에, 계단은 바퀴가 아닌 다리를 위해 설계된 환경에서 인간형 로봇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최근 AI 발전으로 로봇은 빨래 개기부터 낯선 지형 탐색까지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 다만 테슬라부터 스타트업까지 로봇 제조사들은 여전히 인간처럼 생각하고 움직이는 로봇 구축에 가파른 기술적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경쟁사로는 테슬라의 옵티머스,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아틀라스, 피규어 AI의 피규어 02 등이 있다. 피규어 AI는 최근 395억 달러(568000억 원) 기업가치 평가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 옵티머스는 자체 공장에 시범 배치돼 있으며, 가격은 자동차와 비슷한 수준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금융 분석 기관 MST파이낸셜의 선임 애널리스트 데이비드 깁슨은 ABB 인수와 관련해 "손 회장은 모든 사람이 필요로 하는 기계를 만드는 기계를 구축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ABB는 최종 목표가 아니라 장기적으로 모든 AI 관련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디딤돌"이라고 분석했다.

소프트뱅크는 오픈AI에 지금까지 100억 달러(14조원) 이상을 투자했으며, 오픈AI의 컴퓨팅을 담당할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에 180억 달러(258800억 원)를 투자하기로 약속했다. 이는 데이터센터 인프라부터 로봇까지 AI 생태계 전반을 장악하려는 전략과 일치한다.

에질리티는 이전에 벤처캐피털 DCVC 등으로부터 약 32000만 달러(4600억 원)를 투자받았다. 현재 진행 중인 자금 조달은 시카고 사모펀드 WP글로벌파트너스의 벤처 부문이 주도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3억 달러(4310억 원) 이상을 모금했다. 중동 국부펀드도 투자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손정의 회장은 인간보다 1만 배 똑똑한 초인공지능(ASI)10년 내 실현될 것이라고 여러 차례 언급했다. 그는 소프트뱅크를 세계 1ASI 플랫폼 제공업체로 만들겠다는 새로운 전략 목표를 설정했으며, 로봇은 ASI가 물리적 세계로 진입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여겨지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