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 매수세 지속...신흥국 외환보유액 금 비중 여전히 낮아"
이미지 확대보기11일(현지시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JP모건의 알렉스 울프 글로벌 거시·채권 전략 책임자는 “금값이 내년 말까지 5200~5300달러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면서 “이는 현재 거래가격 대비 25%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최근 2년간 금값 급등의 핵심 요인은 중앙은행들의 대규모 매수세였다. 각국 정책 당국이 자산 다변화와 가치 저장 수단으로 금을 선호하면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금 현물 가격은 지난달 온스당 4380달러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최근 소폭 조정을 받았지만, 연간으로 50% 이상 상승한 상태다.
그는 이어 “가격 상승으로 금 매수 속도가 다소 둔화할 수는 있지만, 중앙은행들의 순매수 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올해 9월까지 총 634톤의 금을 외환보유고에 추가했다. 이는 지난 3년 동안의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다소 줄어든 수치지만, 2022년 이전의 평균치를 대폭 웃도는 수준이다.
WGC는 올해 한 해 동안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량이 750~900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중앙은행들의 금 매수세는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중국이 주도하는 가운데 폴란드, 튀르키예 및 카자흐스탄 등도 금 보유량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금값은 지난달 29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약 6% 하락했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금값의 장기적인 상승세를 전망하고 있다. JP모건의 분석도 이러한 전문가들의 견해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금값이 내년 4분기 온스당 4900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보는 등 다수의 글로벌 투자은행도 금값 상승을 낙관하고 있다.
울프는 투자자들의 금 보유 확대와 법정화폐에 대한 지속적인 불신도 금값 상승의 또 다른 동력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현재 투자자 포트폴리오에서 금의 비중이 여전히 낮다”면서 “투자자들이 금의 비중을 단 5%로만 늘려도 추가적인 수요와 상승 압력이 생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뉴욕증시] 엔비디아 급락에 나스닥만 하락](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206470806992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