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캐나다, 국방투자청 출범…더그 구즈먼 CEO "잠수함 조달이 최우선 과제"

글로벌이코노믹

캐나다, 국방투자청 출범…더그 구즈먼 CEO "잠수함 조달이 최우선 과제"

RFP 마감 내년 3월 2일…2035년까지 빅토리아급 교체 절박
더그 구즈만은 글로벌 은행, 자산 관리 및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3년의 경험을 가진 캐나다 비즈니스 리더 출신이다. 사진=캐나다 국방투자청이미지 확대보기
더그 구즈만은 글로벌 은행, 자산 관리 및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3년의 경험을 가진 캐나다 비즈니스 리더 출신이다. 사진=캐나다 국방투자청
캐나다가 최대 62조 원 규모 잠수함 12척 도입 사업을 진두지휘할 국방투자청(Defence Investment Agency·DIA)을 공식 출범시키고, 한화오션과 독일 티센크루프마린시스템즈(TKMS)를 상대로 사업 속도를 높이고 있다.

캐나다 CTV뉴스는 12(현지시각) 더그 구즈먼이 이날부터 국방투자청 최고경영자(CEO)로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지난 10월 구즈먼을 임명하고 국방투자청을 설립했다.

금융전문가가 국방조달 총괄


구즈먼은 캐나다 왕립은행(RBC) 부회장을 지냈으며, RBC에 합류하기 전에는 뉴욕과 토론토에서 골드만삭스 상무이사로 글로벌 금속·광산 부문과 캐나다 투자은행 부문을 이끌었다.

데이비드 맥귄티 국방장관은 오타와에서 "구즈먼은 국방부와 캐나다군을 위한 물품과 서비스 조달 방식을 전문화할 것"이라며 "그가 빠르게 일을 시작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는 많은 대형 프로젝트를 맡고 있으며 잠수함이 1순위"라고 말했다.

국방투자청은 1억 캐나다 달러(1049억 원) 이상 조달 사업을 결정한다. 구즈먼의 첫 주요 책임은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Canada Patrol Submarine Project)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일이다.

RFP 마감 3개월…최종 제안 격돌


국방투자청은 최종 후보 두 곳인 한화오션과 TKMS에 잠수함 건조와 제조를 위한 제안요청서(RFP)를 보냈다. RFP는 발주기관이 사업자에게 구체적인 사업 요구사항과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정식 제안서 제출을 요청하는 문서로, RFP 제출은 계약 체결 전 마지막 단계다. 제출 마감일은 오는 32일이다.

캐나다는 잠수함 12척을 구매하려 한다. 이 계약은 수십 년에 걸쳐 있으며 캐나다 역사상 최대 해외 국방조달이 될 수 있다. 사업 규모는 건조비만 240억 캐나다 달러(251900억 원)이며, 30년간 유지보수 비용을 포함하면 600억 캐나다 달러(629800억 원)를 넘는다.

캐나다가 보유한 빅토리아급 잠수함 4척은 1998년 영국 해군에서 들여온 것으로 수십 년이 지났으며, 일부 교체 부품은 더 이상 제조되지 않는다. 노후화된 잠수함은 2035년부터 교체가 시작돼야 한다.
2025년 예산에는 잠수함 예산이 배정되지 않았다. 캐나다 정부는 잠수함 예산을 향후 예산안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한화오션 조기 인도 공약…2043년 완료


카니 총리는 지난달 30일 한화오션 거제조선소를 방문해 장보고-III 배치-II 잠수함을 직접 둘러봤다. 카니 총리는 지난해 8월 독일 킬에 있는 TKMS 조선소를 방문해 212CD급 잠수함을 시찰했다.

한화오션은 2026년 계약 때 2035년까지 4척을 인도하겠다고 밝혔다. 4척을 넘긴 뒤 해마다 1척씩 추가 공급해 2043년까지 12척 전체를 완성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TKMS2035년 첫 잠수함, 20372호함 인도가 가능하다는 일정을 제시했다.

한화오션이 제안한 KSS-III 배치-II는 수상 배수량 3600, 수중 배수량 4000톤 규모로 리튬이온 배터리와 공기불요추진(AIP) 체계를 동시에 탑재해 3주 이상 수중 작전이 가능하다. 최대 7000해리(12900) 항속 거리를 갖췄다.

캐나다 정부는 앞으로 1년 안에 사업자를 확정할 방침이다. 맥귄티 장관은 "적시성, 상호운용성, 북극 같은 캐나다 우선순위 활용, 캐나다에 돌아올 산업 혜택이 선정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NATO 회원국인 캐나다의 선택이 폴란드 등 다른 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들의 잠수함 도입 사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