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싱, 플리머스에 레질리언스 팩토리 개소…한국 조선·반도체·AI 기술 결합한 해양방산 시장 급성장 전망
이미지 확대보기21일(현지시각) 영국 국방부와 헬싱에 따르면 플리머스에 설립된 1만8000 제곱피트(약 1672㎡) 규모의 '레질리언스 팩토리'는 위기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첨단 방산 장비를 생산할 수 있는 탄력적 제조 기지로 설계됐다. 이 시설은 적대국 잠수함 활동을 추적하는 AI 기반 무인 수중 글라이더 'SG-1 패덤(Fathom)'을 생산하는 헬싱의 첫 영국 내 제조 거점이다.
개소식에는 존 힐리 영국 국방장관과 정부·학계·산업계 인사들이 참석했으며, 헬싱은 이미 생산과 해상 시험을 개시한 상태다. 시험은 플리머스 턴채플 부두와 스코틀랜드의 영국 수중 시험 평가센터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AI 해양 감시 플랫폼, 대잠전 패러다임 바꾼다
SG-1 패덤은 장기간 자율 항해하며 음향 및 자기 신호 데이터를 수집하고, AI로 패턴을 분석해 잠수함 활동을 탐지하는 차세대 해양 감시 장비다. 헬싱의 해양 AI 플랫폼 '루라(Lura)'와 연동되어 다수의 글라이더가 광범위한 해역에서 동시 감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서부 접근 해역, 스코틀랜드, 서호주에서의 실전 시험을 통해 이미 성능을 검증받았다. 기존 군함과 초계기 중심의 대잠전(ASW) 체계로는 탐지가 어려운 저소음 잠수함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감시 계층을 구축한다는 평가다.
존 힐리 국방장관은 "플리머스가 일자리와 산업 역량을 회복하는 상징적 사례"라며 "국방 성장 전략의 핵심 성과"라고 밝혔다. 레이첼 리브스 재무장관은 "국방 장비 조달 예산의 최소 10%를 혁신 기술에 투자하겠다"며 해양 자율 시스템이 영국 경제 성장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조선·반도체·AI 융합, 세계 해양방산 시장 선점 기회
전문가들은 이번 헬싱의 공장 설립이 한국 산업계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분석한다.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중국·러시아·북한의 해양 전력이 동시에 활동하는 세계적으로 드문 지역이다. 특히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개발은 한국의 해양 감시 역량 강화를 시급한 과제로 만들고 있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 기술과 해군 운용 경험,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반도체 기술, 그리고 5G 통신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AI 수중 글라이더 개발에 최적화된 산업 생태계를 갖췄다.
산업계 관계자는 "향후 10년간 전 세계 해군이 장기 작전 가능한 자율 수중 플랫폼을 필수 전력으로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조선·전자·AI·방산 기술이 결합되는 복합 산업이어서 한국의 산업 구조가 자연스럽게 강점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부산·진해·제주, 해양 AI 클러스터 거점 유력
헬싱은 2024년 트리니티 하우스 협약에 따라 영국 정부, 플리머스 지역사회, 플리머스 대학교, 시의회와 '팀 플리머스 파트너십'을 구축해 군-산-학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플리머스 현장에는 향후 고급 연구 허브도 조성될 예정이다.
국내 방산 전문가들은 한국도 국가-지자체-기업-대학이 결합된 해양 기술 클러스터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부산·진해·제주 등이 최적 입지로 거론되며, 실제 해역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연안 실험 구역(테스트베드) 마련과 군-산-학 데이터 공유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영국·호주·미국은 이미 수중 자율 플랫폼 공동 연구를 확대하고 있어, 한국이 이 네트워크에 참여할 경우 기술 확보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네드 베이커 헬싱 영국 대표는 "플리머스에서 생산되는 자율 시스템이 해군과 관련 인프라의 안전을 지키는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며 "수요 증가에 따라 플리머스 지역에서 상당한 고숙련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중·러 경쟁 속 해양 전력의 패러다임이 AI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한반도 주변은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잠수함 작전 지역이며, AI 기반 해양 감시 체계는 필수 안보 자산이 될 전망이다. 동시에 이 분야는 한국 조선·AI·반도체·통신 산업이 결합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이기도 하다. 'AI 해양전 시대'를 대비할 국가 전략 수립이 시급해 보인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2026 대전망] 트럼프 시대, 韓 외교 안보의 ‘실용과 원칙’ 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110061007385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