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디지털자산평가·'민티드, 포스트 쟁글' 노린다

글로벌이코노믹

디지털자산평가·'민티드, 포스트 쟁글' 노린다

국내 유일 '코인 평가' 업체 쟁글 서비스 중단
거래소도 외부 기관의 평가 절실
암호화폐(가상자산) 상장 비리 혐의로 코인원 전 임직원들이 구속되는 과정에서 암호화폐 공시 플랫폼 쟁글의 운영사 크로스앵글이 지난달 23일부터 암호화폐 평가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다. 2018년 설립된 쟁글은 그간 수많은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평가하며 독점적 지위를 얻었지만 쟁글이 서비스를 중단함에 따라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을 준비하던 프로젝트들은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지게 됐다.

쟁글은 민간기관이지만 암호화폐 거래소가 아닌 외부 기업이 암호화폐를 평가하는 사실상 '국내 유일' 평가업체였다. 다른 평가기관도 있었지만 쟁글만큼 체계적으로, 꾸준히 평가가 이뤄지지 않았기에 거래소와 프로젝트 모두 쟁글을 이용하는데 망설임이 없었다. 실제 쟁글의 암호화폐 공시는 업비트를 제외한 빗썸·코인원·코빗 등 많은 거래소가 이용했으며, 상장심사, 거래지원, 예탁 등의 권한을 모두 가지고 있는 거래소의 투자자보호 역할론이 강조되면서 외부 업체의 코인 평가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에 '포스트 쟁글'을 노리는 암호화폐 평가사들이 등장하며 자신만의 평가 기준과 투명성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 디지털자산평가, 정량화된 데이터로만 꼼꼼하게 평가·컨설팅

디지털자산평가의 평가서 예시. 모든 평가항목은 정량화된 수치에 기반해 측정한다. 사진=디지털자산평가이미지 확대보기
디지털자산평가의 평가서 예시. 모든 평가항목은 정량화된 수치에 기반해 측정한다. 사진=디지털자산평가

디지털자산평가는 2016년부터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심의위원을 지낸 멤버가 주축이 되는 평가사다. 때문에 암호화폐 거래소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고 강조한다. 실제 거래소에서 근무하면서 외부 업체의 평가 기준을 신뢰하기 어려울 때가 있었다는 디지털자산평가사 관계자는 수 년간 자체적으로 평가해왔던 중요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상장 후에도 지속적으로 평가와 검증을 진행하는 지속성이 디지털자산평가의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디지털자산평가는 프로젝트 평가를 100% 정량적 평가로 진행한다. 일부 업체의 경우 측정할 수 없는 정서적 평가를 일부 담기도 하는데 그런 모호한 평가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또 국내외 프로젝트 중 다년간 지속된 프로젝트들을 분석해 스캠성 프로젝트, 러그풀(사업을 접고 잠적하는 사기)이 의심되는 프로젝트들의 유형을 수시로 업데이트하고 있다. 디지털자산평가는 "시장의 혼란을 야기하는 프로젝트들을 배제하고 선별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는 동시에 프로젝트 개선을 위한 컨설팅까지 진행해 지속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 민티드, 법률성 검토 강화하고 쉬운 표현으로 평가서 작성
민티드는 법률성 검토 비중을 높여 암호화폐의 법률적인 리스크를 일찌감치 발견해 차단한다고 밝혔다. 사진=민티드이미지 확대보기
민티드는 법률성 검토 비중을 높여 암호화폐의 법률적인 리스크를 일찌감치 발견해 차단한다고 밝혔다. 사진=민티드

민티드(Minted)는 다수의 암호화폐 재단과 거래소에서 근무한 김형석 대표가 새롭게 시작하는 암호화폐 평가 플랫폼이다. 민티드가 내세우는 강점은 법률성 검토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이다. 현재 디센트 진현수 변호사, 홍푸른 변호사 등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다수가 민티드에서 프로젝트의 법률 검토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각 코인의 법률적인 리스크나 투자적합성 등을 중요하게 점검해 루나·테라와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프로젝트 평가서의 작성도 최대한 쉽게 작성하는 것을 지향한다. 대부분의 암호화폐 프로젝트 평가서는 내용이 난해하고 생경한 용어들이 많아 초보 투자자들에게 큰 도움이 안 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때문에 민티드는 용어 설명과 예시 등을 암호화폐 관련 지식이 많지 않은 초보 투자자들도 충분히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쉬운 표현으로 바꿔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암호화폐 초보 투자자들도 민티드 평가서만 보더라도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