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카모, 지나길 바라는 '기도 메타' 택시서 '6.6초안에 부르는' 택시 된 성과 공개

글로벌이코노믹

카모, 지나길 바라는 '기도 메타' 택시서 '6.6초안에 부르는' 택시 된 성과 공개

10년간 배차시간 67% 단축, 6.6초 내로 배차 성공
택시 호출한 이용자 10명 중 9.4명은 탑승
단거리·비선호 지역 서비스 등 '맞춤형 택시' 제공
원스톱 택시 '자동결제' 서비스 이용률 꾸준 증가
이미지 확대보기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호출 서비스 시작 10주년을 맞아 모빌리티 플랫폼 '카카오 T'를 통해 택시 이용 패러다임을 바꿔 온 성과를 7일 공개했다.

카카오 T 택시 측은 "2015년 서비스 출범 이후 기술 고도화와 이용자 중심 서비스 개선을 통해 '길에서 잡는 택시'에서 '원하는 곳으로 부르면 오는 택시'로 이동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며, 전 국민의 이동 경험을 향상해왔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T 앱 내에 축적된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카카오 T 택시 호출 후 평균적으로 택시 배차에 걸리는 시간은 출시 초인 10년 전과 비교해 약 67% 단축됐다. 아울러 탑승 성공률은 94%까지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19년부터는 승차거부 없는 가맹 택시를 도입해 단거리나 운행 비선호 지역의 택시 호출 수요도 대응하면서 이용자 편의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택시 호출 서비스의 핵심 경쟁력인 '배차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카카오 T 택시의 호출-배차-탑승 과정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했다. 실제로 카카오 T 택시의 평균 배차 소요시간은 올해 상반기 기준 6.6초로 2015년 19.87초에서 약 67% 단축된 성과를 보였고, 이를 통해 승객 편의는 높이면서 택시기사들의 영업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아울러 택시 호출을 시도한 승객이 실제로 탑승해 운행을 완료한 비율을 나타내는 '탑승 성공률'도 꾸준히 상승했다. 2025년 5월 기준, 카카오 T 택시의 탑승 성공률은 2015년 77%에서 17%p 증가한 94%를 기록했는데, 이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카카오 T 택시를 고도화하여 '부르면 오는 택시'로의 전환을 실질적으로 이뤄냈음을 보여준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2019년 가맹 택시 '카카오 T 블루'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승차거부 없는 고품질 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특히 목적지를 표시하지 않는 자동배차 시스템을 기반으로, 단거리 이동 수요는 물론 기존에 운행이 선호되지 않았던 지역으로의 이동 수요까지도 효율적으로 해소하면서 '부르면 오는 택시' 시대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끌어갔다.

실제 카카오 T 택시의 가맹 택시 전용 호출인 블루파트너스 호출의 2024년 기준 5km 이내 단거리 평균 배차 성공률은 전체 택시 호출의 평균보다 1.2배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승객을 목적지에 내려주고 되돌아올 때는 빈 차로 운행해야 해서 기피되던, 이른바 '비선호 지역'에 해당하는 파주(2.1배), 김포(1.9배), 강화군(1.5배), 하남(1.3배) 등에서도 가맹 택시는 전체 택시 호출 대비 높은 배차 성공률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승차거부 없는 '가맹 택시 모델'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데 이어 승객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택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 확장에도 적극 나섰다.

현재 카카오 T 택시는 일반 중형 택시 외에도 대형승합·고급택시 면허 기반의 '카카오 T 벤티', 프리미엄 택시 서비스인 '카카오 T 블랙', 모범까지 다양한 택시 호출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 측은 "카카오 T 벤티와 카카오 T 블랙의 경우, 원하는 일정에 맞춰 사전에 이동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예약 서비스'도 지원해 비즈니스 및 공항 픽업 등 다양한 상황에서 승객 이동 편의를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호출 방식뿐 아니라 결제 방식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8년 10월 '자동결제' 기능을 도입해 탑승부터 하차 후 결제까지를 원스톱으로 제공해 오고 있다. 카카오 측은 "해당 기능으로 카드·현금 결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며 출시 당시부터 승객과 택시기사 모두의 큰 호응을 얻었다"고 말했다

특히 승객과 택시기사 간 직접적인 접촉이 어려웠던 코로나19 시기에 적합한 결제 방식으로 꼽히면서 서비스 이용이 큰 폭으로 늘었다. 이를 입증하듯 카카오 T 택시에서 운행 완료된 건 중 자동결제 이용률은 2018년 8%에서 2025년 74%까지 증가하며 현재 대표적인 택시 운임 결제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용의 편리함으로 인해 자동결제 이용률은 출시 이후 지금까지 한 번도 이용률이 줄지 않고 계속해서 느는 추세다.

이후에도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 택시 이용자의 편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는 기능을 계속해서 도입해왔다. 지난 2023년 6월 출시된 '가족 계정'은 미성년자나 고령층이 직접 카드를 등록하기 어렵다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된 대표적인 서비스다. 또한 '해외카드 결제 지원'을 통해 외국인 이용자의 진입 장벽을 낮췄다. 2024년 2월에는 '결제카드 변경 기능' 추가를 통해 이미 결제가 완료된 후에도 카카오 T 앱 내에서 일정 시간 내에 다른 카드로 재결제가 가능하도록 했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 T 택시는 지난 10년간 플랫폼 기술과 데이터, 이용자 경험의 삼박자를 통해 '길에서 잡는 택시'로부터 '부르면 오는 택시'라는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왔다"며, "이용자를 위한 기술적 혁신은 물론, 지난해 택시 업계와의 상생 합의를 토대로 출범한 '지역참여형 가맹 택시' 모델과 같이 국내 택시 시장의 자체 경쟁력도 함께 높여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