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자코비 손에 들린 것은 선물? 폭탄?

글로벌이코노믹

자코비 손에 들린 것은 선물? 폭탄?

GM본사 vs 군산노조 등 4자회담 예정…구조조정 등 논의
[글로벌이코노믹=김종길기자] 미국 GM 본사의 스테판 자코비 국제담당 부회장이 방한해 군산공장 노조 등과 4자 회의를 가질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동차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GM 사측이 ‘1교대제 전환과 인력 감축’을 노조에 제안한 상황에서 GM 본사가 한국GM의 향방을 가름할 중장기 성장전략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14일 자코비 부회장은 세르지오 호샤 한국GM 사장, 홍영표 민주당 국회의원, 정종환 한국지엠 노조지부장 등과 4자 회의를 갖는다. 자코비 부회장은 지난달 24일 홍영표 민주당 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GM이 한국에 확신을 갖기 어려운 이유로 ‘통상임금과 근로시간 단축 등 정치적·정책적 불확실성, 노조의 회사에 대한 적대감’ 등을 지적한 바 있다. 2일 한국GM과 군산공장 노조 등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한국GM 사측은 군산공장 노동자들에게 구조조정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세계 공장 생산물량을 조정하면서 일감이 줄어든 군산공장을 1교대제로 전환하면서 인력 1100여명을 줄이는 안을 노조에 제시한 것이다. 2교대제로 운영되는 군산공장은 사내 하도급을 포함해 3100여명이 일하고 있다. 군산공장 구조조정은 예측됐던 시나리오다. 지엠의 준중형 자동차 ‘크루즈’를 생산하는 군산공장은 지난해부터 수출이 줄어 공장 가동률이 큰 폭으로 떨어진 상태다. 한때 26만대를 생산했던 군산공장은 올해는 14만대 정도만 생산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GM이 유럽 브랜드 '오펠'을 살리려고 오는 2016년부터 '쉐보레' 브랜드를 유럽에서 철수하기로 하면서 물량 축소 폭이 더 커졌다. GM은 차세대 크루즈 모델(J400) 생산에서도 군산을 배제한 바 있다. 결국 한국GM의 인력감축은 미국 GM 본사 차원의 결정이다. GM은 매년 적자를 기록하는 '쉐보레 유럽법인'을 오는 2015년말까지 순차적으로 철수하고 GM의 호주 브랜드인 '홀덴' 공장도 오는 2017년까지 철수할 계획이다. 한국지엠은 다음 '철수 대상'이라는 것이다. GM은 지난해 한국지엠에 5년간 8조원을 투입하겠다며 'GMK 20XX'를 발표했지만 한국GM 양성책이라기 보다는 소형·경차 생산기지화 하겠다는 전략에 가깝다. 산업연구원 이항구 팀장은 “당분간 군산공장에서 생산물량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라며 “지엠은 한국 공장의 경쟁력이 떨어졌다고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유일한 탈출구는 크루즈같은 전략 차종을 한국지엠에서 개발하는 것이다. 하지만 신차 개발에 80억달러 이상의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만큼 쉽지 않은 결정이다. GM본사나 한국지엠 모두 신차 얘기는 꺼내지 않고 있다. 한국지엠노조 군산지회 측은 “회사가 신차 투입 비전은 없고 군산에서 만들 수 있는 일부 부품도 중국 상하이지엠에서 수입해 조립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GM의 결정으로 군산 경제는 흔들리고 있다.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면서 군산공장 노동자 임금은 평균 30~40% 줄어든 상태다. 군산 공장 수출량이 시 전체 수출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할 만큼 지역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큰 상황이라 타격 또한 엄청나다. 여기에 중국 부품마저 수입되면 한국지엠 군산공장뿐 아니라, 지역 납품업체의 일감도 줄어든다. 부평 공장 등에도 중국산 부품이 수입될 가능성도 있다. 강희관 군산경실련 위원장은 “하청업체 직원까지 포함해 지엠에서 일하는 사람이 1만명이 넘는다. 공장 철수와 감원 얘기가 계속 나오니 시민들이 크게 불안해한다”고 말했다. 군산시는 의회, 학계, 시민단체 등으로 ‘한국지엠 군산공장 발전을 위한 범시민대책위원회’를 2월 중 꾸린다는 게획이다. 이에 대해 한국지엠 관계자는 "희망퇴직은 실시할 것"이라며 "신청을 받는 것이니 몇 명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쉐보레 브랜드가 유럽시장에서 철수하는 오는 2015년까지는 유럽 수출 비중이 높은 군산공장에서 어느 정도 인력 감축을 피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자코비 부회장의 이번 방한은 투자 의사 재확인이나 신차 개발계획 제시보다는 중장기 발전계획이라는 이름 아래 구조조정 의지를 재확인하고 그 불가피성을 설명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