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50산업지도(22)] 탄자니아
킬리만자로의 표범처럼…재도약이 시작된다
농업이 GDP의 27.6%, 15%는 관광
중국‧인도가 수출입국가 상위 2위권
산업 부문 광산‧금융‧통신이 이끌어
탄자니아는 영국령이었던 탕가니카(Tanganyika)와 잔지바르(Zanzibar)가 독립 후 1964년에 합병하면서 성립된 국가다. 양국의 불평등, 경제적 격차로 인해 통합 이후에도 잦은 분쟁과 유혈사태가 발생해 국가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국가성립 후 국가 주요 산업을 국유화하면서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고수했다. 이는 당시 글로벌 경제 흐름과 역행하고 있어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결국 1970년대 실용주의 경제체제를 채택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조금씩 완화하면서 민간부문을 발전시켰다. 전통산업인 농업을 기반으로 성장해 현재는 관광, 통신, 금융 분야까지 그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탄자니아의 경제는 2013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27.6%를 차지하는 농업을 기반으로 성장해왔다. 주로 옥수수, 커피, 쌀, 사탕수수 등이 주요 작물이며 이 중 커피는 농산물 수출의 40%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 정부가 관광산업 분야에 투자를 늘리면서 관광산업이 GDP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간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광산업은 주로 다이아몬드와 금을 채굴해 수출한다. 통신과 금융분야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정부의 규제로 인해 해외투자자들의 유치는 제한적이다. 현재 수송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잠비아와 국제열차 운행에 대한 협력투자, 기관차 매입 등이 이뤄지고 있다. 탄자니아의 경제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총생산(GDP), 무역수지, 예산 및 공공부채, 노동력 및 실업률, 주요 제품 및 물가상승률 등을 살펴보자.

정부는 2014~2018년까지 연평균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7.1%로 유지할 것을 공표했다. GDP구성 비율은 가계소비(60.3%), 정부소비(17.2%), 고정자본 투자(40.2%), 재고 투자(0.6)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자본의 투자가 높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는데, 투자 대비 경제적 효과의 창출은 더 지켜봐야 한다. 발전을 위한 투자는 하고 있지만 아직 성장 초기단계라 재정적 지출과 무역수지 적자규모가 계속 늘어나 효과적인 수익성 환원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무역수지 현황을 보면 2013년 무역적자가 52억4000만 달러(약 5조4200억원)로 2012년 무역적자 44억800만 달러(약 4조5600억원) 대비 8억3200만 달러(약 8600억원)가 증가했다. 2012년부터 교역국가들과 물가, 환율 등에서 약 20%의 격차를 보이면서 자국 내 수입 지출이 늘어났다. 교역량 자체는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조금씩 완화시키면서 개방경제를 고수해 무역이 확대되고 있지만 수입에 지출되는 외화유출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기계에 쓰일 오일이 필요했고, 철도 인프라건설로 인해 운송장비의 수입까지 증가하면서 수입이 늘어났다.
현재 성장을 위한 자재들을 대부분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 9월 탄자니아 정부는 동아프리카 국가들과의 무역확장을 위해 주요 항구인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을 개발하기 위해 세계은행(Wolrd Bank)과 5억6500만 달러(약 6060억원) 자금지원을 받기로 합의했다. 수출입 주요 대상국은 중국, 인도, 독일, 일본,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냐 등이다. 중국과 인도가 수출입국가 상위 2위권 내에 모두 진입해 있다. 이들 국가는 탄자니아로부터 금을 수입하고, 소비재 등을 수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