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삭발한 대우조선 협력사 진민용 대표 “대통령의 ‘공정‧상식’ 없었다”

글로벌이코노믹

삭발한 대우조선 협력사 진민용 대표 “대통령의 ‘공정‧상식’ 없었다”

11일 상경집회서, 하청지회 불법파업에 설립 5년4개월 만에 폐업 키로
고욕부‧경찰, 요청해도 무반응, 정부 더 이상 국민 실망시키지 말아야
11일 오후 2시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협외회 회원사 대표들과 함께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진행한 하청 지회 불법파업 해결 촉구 집회에 참석한 인민용 ㈜삼주 대표가 동료의 도움을 받아 삭발을 하고 있다. 사진=대우조선해양이미지 확대보기
11일 오후 2시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협외회 회원사 대표들과 함께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진행한 하청 지회 불법파업 해결 촉구 집회에 참석한 인민용 ㈜삼주 대표가 동료의 도움을 받아 삭발을 하고 있다. 사진=대우조선해양
“대통령이 말하는 ‘공정과 상식’은 어디에 있습니까?”

11일 오후 2시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진행한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협외회의 하청 지회 불법파업 해결 촉구 집회에서 폐업을 앞둔 진민용 ㈜삼주 대표가 삭발을 하며 이렇게 울부짖었다.

진 대표는 이날 협의회의 호소문 발표 직후 현장에서 동료의 도움을 받아 머리를 밀었다. 그는 별도로 마련한 호소문을 통해 “저는 대우조선해양에서 도장 사내협력사를 운영하는 아니 운영하였던 진민용”이라면서, “제가 오늘 이 자리에 서게 된 것은 다름이 아니라 제 평생을 바쳐 이루었던 사업체를 폐업함에 앞서 이 억울함을 호소하고자 이 자리에 서게 되었다”고 운을 떼었다.

진 대표는 “저는 도장 파워공 작업자로 조선업에 첫발을 내딪었다. 이후 많은 선‧후배 동료들의 지지와 도움으로 조장, 반장, 직장, 소장을 거쳐 현재 대우조선해양내 사내협력사 ‘주식회사 삼주’라는 도장협력사를 설립했다”면서, “2017년 3월 꿈에 그리던 조선소 사내협력사 창업 후 5년 4개월이란 기간 동안 어렵고 힘든 일도 많았지만 소장을 비롯한 많은 동료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며 힘들게 위기를 극복하며 버텨 왔다. 그리고 그 버팀은 이제 결실을 맺을 수 있게 되었고 대한민국 조선산업의 수주 호황과 맞물려 지금까지의 노력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시점이 바로 눈앞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저는 지금 바로 눈앞에 있는 노력의 결실을 포기하고자 한다. ‘주식회사 삼주’의 근로자들과 함께 이루어 낸 보상의 결실을 가족 같았던 종업원과 나누고 싶었지만 저는 그 노력의 결실을 포기 하고자 한다”며 폐업을 선언했다.

진 대표는 “금속노조 산하 거통고조선하청지회(하청지회)는 이 어렵고 힘든시기에 임금 30% 인상, 상여금 300% 지급, 노조 전임자 인정, 노조 사무실 지급 등을 요구하며 시설 점거, 작업 방해, 고공 농성, 산소 호스 절단 등을 포함한 불법 파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저희 회사 또한 하청지회로부터 작업장 입구를 봉쇄 당하였고, 현장에 투입되는 작업자들은 하청지회 조합원들의 협박 전화를 받고 결국 협박을 감당하지 못하고 종업원들은 출근을 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불법파업으로 생산을 하지 못한 저희 회사는 결국 폐업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하청지회의 불법파업에 남은 것이라고는 많은 부채와 일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끝까지 지켜주지 못한 미안함 뿐”이라고 울먹였다.

진 대표는 “비록 저는 금속노조의 불법 앞에 무릎 꿇고 폐업을 하였지만 여기 계신 나머지 협력사 대표님들은 그런 일이 발생하여서는 안된다. 대한민국의 조선산업이 금속노조에 흔들려서는 안된다는 말씀을 꼭 드리고 싶다”면서, “윤석열 대통령께서 ‘공정과 상식’이라는 말씀하셨다. 대한민국의 ‘공정과 상식’은 약한자에게만 적용 되는 것인가? 민주노총과 같은 힘이 있는 권력 집단은 “공정과 상식”에서 제외가 되는 것인ㄷ가?“라고 되물었다.

그는 지금 껏 저희 사내협력사 대표 일동은 수차례 ‘고용노동부와 경찰청’에 건의하였지만 그 어느 기관도 ‘공정과 상식’을 보여주지 않았다”면서, “이제 더 이상 정부기관은 저희와 국민을 실망시키지 말아 주시기를 요청드리며 불법과는 타협없는 정의가 살아 있는 대한민국을 보여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