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삼성 반도체 인도연구소, STEM 교육 장려 위해 모바일 과학연구소·과학센터 개소

글로벌이코노믹

삼성 반도체 인도연구소, STEM 교육 장려 위해 모바일 과학연구소·과학센터 개소

이미지 확대보기
삼성 반도체 인도 연구소(SSIR)는 인도 카르나타카 지방에서 STEM 교육을 장려하기 위해 모바일 과학연구소 및 과학센터를 13일(현지 시간) 개소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STEM 교육을 강화하고, 오지의 어린이들이 변화와 미래 혁신 촉매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모든 배경의 학생들 사이에서 과학과 혁신에 대한 열정을 키우는 데 있다.

삼성 반도체 인도 연구소는 삼성 반도체의 글로벌 R&D 센터로, 아가스티야 국제 재단과 함께 STEM 교육을 지원하는 3개의 모바일 과학 실험실, 2개의 과학센터, 2개의 미니 혁신 허브를 개소했다. 이들 시설은 삼성의 사명과 일치하며, 원격 지역의 어린이들에게 과학과 혁신에 대한 열정을 키우고 미래의 변화와 혁신의 주도자가 되도록 돕는다.

STEM 교육이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수학(Mathematics)의 약자다. SSIR의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1만 명 이상의 학생과 교사가 혜택을 받는다. 외딴 지역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 어려움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교육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교사들이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할 수 있다. 그러나 SSIR은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모바일 과학 실험실과 혁신 허브 등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정부 관계자 30여 명과 학생 500여 명이 참석했다. 삼성과 아가스티야 국제 재단의 학교 및 대표단 발라지 소우리라잔(삼성반도체 인도 리서치(SSIR)부사장 겸 최고경영자)은 이 추진에 대해 “이동식 실험실과 과학센터를 통해 어린이와 교사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실습을 통해 창의적인 기질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롭게 문을 연 3개의 MSL(모바일 과학 실험실)은 과학 모형과 실험을 갖춘 이동식 시설로 오지의 소외된 학교로 이동한다. 각 MSL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들을 위한 물리, 화학 및 생물학의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는 100개 이상의 실습 과학 모델을 통해 제공한다. 학생들은 과학적 개념을 탐구하고, 실험하고, 경험함으로써 실습 학습에 참여한다.

모바일 과학 실험실은 물리, 화학, 생물학 등 다양한 주제의 과학 모델과 실험을 갖춘 이동식 시설로, 취약 지역의 학교들을 방문한다. 과학센터는 150여 개의 과학 실험과 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부 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이들 전시물과 상호 작용하고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자원 센터로 활용된다. 이들 시설은 교사 연수, 청년 강사 프로그램, 여름 캠프, 커뮤니티 방문, 과학 박람회 등에도 사용된다.

두 개의 미니 혁신 허브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한 장비와 활동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헤발(벵갈루루)과 훈수르(마이소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이 시설들은 68개 이상의 정부 학교에 혜택을 줄 것이며, 부족, 농촌 및 도시 지역에서 온 총 8,000명의 독특한 학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교이다. 이를 통해 매년 30,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체험 학습에 참여할 기회를 갖게 된다.

삼성 반도체 인도 연구소(SSIR)는 SIC(삼성 혁신 캠퍼스)의 일환으로 카르나타카 정부와 협력하여 37개 폴리테크닉 대학의 1,000명 이상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사물 인터넷(IOT) 및 인공 지능(AI) 기술을 향상시켰다. SIC 모듈에 따라 학생들을 위한 IOT 및 AI 기반 교육과 함께 적절한 시설, 키트, 장비, 교육이 제공된다.

삼성은 전 세계적인 교육적 이니셔티브인 내일을 위한 해결(Solve for Tomorrow)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22개국에서 180만 명 이상의 참가자들이 참여하며, 삼성은 전 세계의 학생들과 학교들에게 더 공정한 미래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2010년 미국에서 시작된 ‘내일을 위한 해결’사업은 현재 전 세계 22개국에서 확장되어 운영되고 있다.


홍정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