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텔레콤, 동남아 3개국 기업과 '이프랜드' 퍼블리싱 협력

글로벌이코노믹

SK텔레콤, 동남아 3개국 기업과 '이프랜드' 퍼블리싱 협력

SK텔레콤의 차세대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이미지 확대보기
SK텔레콤의 차세대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
SK텔레콤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를 확장하기 위해 여러 IT 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들 파트너사는 말레이시아의 1위 통신사인 ‘셀콤 디지’, 인도네시아의 게임개발사 겸 퍼블리셔인 ‘아가테’, 그리고 필리핀의 사물이동통신 플랫폼 및 디바이스 제조유통업체인 '코스믹 테크’다.

이번 협약에 따라, SK텔레콤은 이프랜드의 핵심 기능과 콘텐츠를 제공하며, 파트너사들은 현지화된 콘텐츠 개발과 마케팅, 고객 지원 등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프랜드의 동남아시아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현지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돈다.

SK텔레콤은 이번 협약이 SKT와 파트너사들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파트너사들은 초기 개발비 등의 투입 없이 메타버스 서비스 사업 경험을 얻을 수 있으며, SK텔레콤은 파트너사를 통해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맞는 콘텐츠를 시의적절하게 공급하고 마케팅을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또한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 공략을 위해 이프랜드의 지원 언어를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힌디어, 스페인어 등으로 확대하고, 이용자의 접속 지역에 따라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개발하고 있다. 미국, 인도, 유럽 등 다른 지역에서도 파트너사를 발굴해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양맹석 SK텔레콤 메타버스CO 담당은 “동남아시아의 주요 IT 기업들과 협력해 이프랜드의 글로벌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각 지역과 문화에 맞는 메타버스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프랜드는 SK텔레콤이 개발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가상 공간과 아바타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이프랜드는 앱을 활성화하면 상태와 아바타를 확인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사용 패턴에 기반한 메타버스 방 목록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화면 하단의 “방 열기” 아이콘을 탭하여 메타버스 방을 열 수 있다.

이프랜드는 18가지 다른 가상 공간을 제공하며, 회의장, 야외 무대, 옥상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가상 공간을 선택한 후에는 날씨, 시간, 바닥재료, 벽지 등 다양한 장식 개념 중에서 선택하여 고급 설정을 할 수 있다.

이프랜드는 다양한 가상 아바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의상, 헤어스타일 등 총 800개의 다양한 가상 아이템을 사용하여 아바타를 사용자 정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66가지 다른 감정 표현을 사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풍부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이프랜드는 현재 49개국에서 이용 가능하며, SK텔레콤은 K-pop 콘텐츠를 적극 활용하고, 해외 파트너와 함께 매력적인 콘텐츠를 개발하고,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하여 이프랜드를 글로벌 리딩 소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만들 계획이다. 이프랜드는 영어, 중국어(번체, 간체), 일본어를 지원하며, 안드로이드와 iOS 스마트폰 사용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계기로 현지 시장에 맞춘 전략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메타버스 경쟁을 장악하겠다는 SK텔레콤의 의지를 의미한다. 채택이 계속됨에 따라 SK텔레콤은 ‘이프랜드’ 를 전 세계 사용자가 선택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홍정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