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이노베이션 연구개발(R&D) 조직인 환경과학기술원은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이원자(二原子) 촉매 기술을 활용해 하루 1kg 상당의 일산화탄소를 제조하는 데 성공하고 실증 결과를 화학공학 전문 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게재했다고 3일 밝혔다.
이원자 촉매기술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연구진이 개발해 지난해 환경분야 학술지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B: 환경에 게재된 바 있다. 수백개의 원자가 뭉쳐진 기존 촉매와 달리 원자를 하나씩 분리해 만든 단원자(單原子) 촉매는 활성을 더욱 높이는 기술로 평가받는다.
올해 연구에서 연구진은 니켈과 철이 이원자 형태로 존재하는 촉매를 제조해 촉매 성능을 높였고 이를 여러 전극 셀이 적층 된 전해조(전기분해로 화합물을 분해하는 장치)에 적용했다. 전해조에서의 전기화학 촉매 반응을 거쳐 이산화탄소가 일산화탄소로 전환된 것이다.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은 이번 연구가 기후 위기를 가속화하는 주요 요인인 이산화탄소를 줄이면서 일산화탄소를 확보하는 일석이조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은 앞으로도 차세대 탄소 저감 기술 상용화를 위해 촉매 성능 개선 및 양산역량 확보를 지속하며, 대내외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은 "탄소 감축과 기후 위기 극복은 우리 모두가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라며 "이번 성과는 에너지·화학 연구개발(R&D) 과정에서 축적된 촉매 기술 역량이 탄소 감축 기술 개발에 활용된 사례로, 앞으로도 SK이노베이션 R&D 핵심역량을 더욱 강화해 탄소 감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