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네덜란드 '반도체 동맹' 공식화…2나노 경쟁 반전 기대

글로벌이코노믹

한국-네덜란드 '반도체 동맹' 공식화…2나노 경쟁 반전 기대

실천 위한 경제·안보·산업 분야 양자 협의체 신설하기로 합의
인력 양성부터 기술력 고도화까지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
윤석열 대통령과 빌럼 알렉산더르 네덜란드 국왕이 12일(현지 시간) 네덜란드 벨트호번 소재 ASML 본사에서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과 피터 베닝크 ASML 최고경영자(CEO)가 차세대 반도체 제조기술 R&D센터 설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자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윤석열 대통령과 빌럼 알렉산더르 네덜란드 국왕이 12일(현지 시간) 네덜란드 벨트호번 소재 ASML 본사에서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과 피터 베닝크 ASML 최고경영자(CEO)가 차세대 반도체 제조기술 R&D센터 설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자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반도체 제조 강국인 한국과 반도체 장비 강국인 네덜란드가 차세대 반도체 인력 양성 단계부터 긴밀한 협력을 약속하며 반도체 동맹이 공식화됐다. 이번 동맹을 공식화함으로써 국내 반도체 산업의 기술 고도화로 미국·대만 등과의 경쟁에서 유리해졌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네덜란드 국빈 방문을 계기로 마르크 뤼터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반도체 동맹을 골자로 한 정상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과 뤼터 총리는 반도체 동맹 구축에 따라 이를 실천하기 위한 경제·안보·산업 분야 양자 협의체를 신설하기로 합의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한국과 네덜란드 양국은 반도체 분야에서 평시 각별한 협력을 도모하고, 위기 발생 시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반도체 공급망 위기 극복 시나리오를 함께 집행하고 이행하는 동맹관계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공동성명에서도 긴밀한 협의를 거쳐 '반도체 동맹'이라는 용어를 직접 기재해 넣었다. 이 밖에도 양국은 국가 간 안보 협력과 마찬가지로 반도체 협력 강화의 목표와 의미, 방법 등을 구체화했다.
특히 경제 안보의 핵심 이익을 결정하는 반도체 분야에서 기술 격차를 유지하고, 공급망 위기를 함께 돌파하는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양국은 외교 당국 간 연례 경제 안보 대화를 신설한다. 양국 산업당국은 또 반도체 정책을 조율하기 위한 반도체 대화기구를 설치하고, 핵심 품목 공급망 협력 양해각서(MOU)를 바탕으로 공급망 협의체 구성도 약속했다.

경제 안보·산업정책에 관한 다양한 양자 협의 채널 신설과 반도체를 비롯한 핵심 품목 공급 협력 관련 MOU 체결이 반도체 동맹의 구축을 가속한다는 것이다.

반도체 동맹을 체결하고 명문화한 것은 양측 모두에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국빈 방문 전부터 반도체 동맹으로의 격상을 약속했고, 삼성전자를 필두로 한 양측 정부가 치열한 협상 끝에 만들어낸 결실이다.

반도체 동맹을 맺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국가 경제를 떠받치는 반도체 산업에서 생사가 걸린 전쟁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삼성전자와 대만 TSMC, 인텔 등은 3nm 공정을 파운드리(수탁생산) 설비에 적용해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다.

반도체는 반도체 회로 선폭을 얼마나 좁고 촘촘하게 만드는지가 최대 경쟁력이다. 각 기업은 2nm 이하로 넘어가기 위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경쟁력의 핵심은 ASML의 극자외선(EUV) 노광기를 얼마나 확보할 수 있냐에 달려 있다.

삼성뿐만 아니라 글로벌 파운드리 1위인 TSMC와 파운드리에 재도전하는 인텔도 ASML에 장비 확보를 위한 '러브콜'을 보내고 있어 협력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했다. 한국 기업은 이번 동맹을 통해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간, 기업 간에 체결된 양해각서는 한-네덜란드 반도체 동맹을 떠받치는 기둥이 될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ASML은 함께 1조원을 투자해 차세대 EUV 기반 초미세 공정을 공동 개발하는 '차세대 반도체 제조 기술 R&D(연구개발)센터'를 한국에 설립하기로 했다. ASML이 반도체 제조 기업과 공동으로 해외에 제조 공정 개발을 위한 R&D센터를 만드는 것은 삼성전자가 처음이다.

SK하이닉스도 ASML과 EUV용 수소가스 재활용 기술 개발 MOU를 체결했으며, 양국 정부 간에 '첨단 반도체 아카데미' 신설 MOU도 맺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