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 호응속 전 라인업으로 확대…AI결합해 새로운 경험 제시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가 최근 공개석상에서 말한 자신감이다. 한 대표의 자신감에는 비스포크 브랜드가 자리하고 있다. ‘말하는 대로 된다(Be+Speak)’는 의미를 가진 비스포크(Bespoke)가 삼성전자의 대표 브랜드로 5주년을 맞았다. 비스포크는 국내 최초로 ‘맞춤형 가전’의 포문을 열고 시장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삼성전자는 4일 비스포크의 출시 5년을 기념해 삼성전자 뉴스룸에 비스포크의 지난 여정을 소개했다. 2019년 6월 출범한 삼성전자의 비스포크 브랜드는 '소비자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나아가겠다는 슬로건 아래 출시 초기부터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2020년에는 ‘비스포크 김치플러스’, ‘비스포크 식기세척기’ 등으로 라인업을 확대하면서 누적 출하량 100만대를 돌파했다.
소비자들의 호응에 자신감을 얻은 삼성전자는 2021년 모든 생활가전으로 제품을 확장하는 '비스포크 홈'전략을 전개했다. 비스포크 라인업이 대폭 확장됐고 소비자들은 가전제품을 자신의 취향에 맞춰 고를 수 있는 다양한 선택의 폭을 가지게 됐다.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이 대표 제품인 비스포크 냉장고에서 기본 옵션인 22종의 패널을 비롯해 360가지 색상을 글로벌 프리미엄 페인트 회사인 ‘벤자민 무어’의 베스트 조합 추천과 함께 주문할 수 있도록 했다.
2022년에는 글로벌로 비스포크의 무대를 확장했다. 삼성전자는 '비스포크 홈 2022'를 공개하고 글로벌시장에 세탁기, 에어컨 라인업을 처음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여기에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싱스 홈 라이프를 구현하고 프리미엄 라인업인 인피니트 라인도 출시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삼성전자는 2023년엔 △지속가능성 △초연결성 △디자인의 핵심 3대 가치를 추구하는 ‘비스포크 라이프(Bespoke Life)’를 선언했다. 또 맞춤형 연결 경험과 지속가능한 일상을 제시하면서 스마트싱스를 통한 인공지능(AI) 절약모드를 전세계 65개 국가로 확대 적용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2024년에는 ‘비스포크 AI로 완성하는 새로운 AI Life의 시작’을 슬로건으로 제시하고 제품군에 AI를 대폭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7인치 터치스크린 기반의 ‘AI 홈’, 음성 인식 ‘빅스비’를 통해 진화한 AI 기능과 기기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에 들어오는 식재료를 자동 인식해 푸드 리스트를 만드는 ‘AI 비전 인사이드’ △세탁물에 따라 모터 세기와 세탁·건조 시간을 조절해 주는 비스포크 AI 콤보의 ‘AI 맞춤 코스’ △마룻바닥과 카펫을 맞춤으로 청소하는 비스포크 AI스팀 로봇청소기의 ‘AI 바닥 인식’ 기능 등은 대표적인 AI 기능들이다.
한 대표는 지난 3월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자리에서 “삼성전자는 AI 기능을 대폭 강화한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이면서 업계에서 AI 기술의 확산을 리드하고 있다”며 “이제는 소비자가 가정에서 자주 사용하는 다양한 스마트홈 기기들을 통해 모두를 위한 AI 비전을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