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양사는 배터리 성능 및 상태를 디지털 방식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마쓰다, 덴소 등 일본 자동차 관련 기업 7곳도 2027년까지 '배터리 여권' 제도 도입에 동참한다.
배터리 여권은 배터리 성능, 상태, 재사용 가능한 희귀금속 함량 등 정보를 QR코드 등으로 전자화한 것이다. 각 기업은 기밀 유지 하에 이 정보를 디지털로 기록·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닛산과 혼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120여 개 기업 연합 '모빌리티 오픈 블록체인 이니셔티브(MOBI)'에 참여해 배터리 여권 기반 개발을 주도해왔다. 실증 단계를 거쳐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우선 2027년부터 배터리 규제를 도입하는 유럽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EU의 배터리 데이터 규제 강화는 중국 견제 의도가 깔려 있다. 중국은 전 세계 배터리 재료 시장을 과점하고 있으며, EU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역내 재료 재사용을 촉진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배터리 여권은 미국에서도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2022년 통과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려면 북미 지역에서 배터리를 조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배터리 여권은 원산지 파악에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다만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약 60%를 점유하고 공급망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을 완전히 배제한 형태로 배터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다.
배터리 여권 기반 개발 경쟁에는 독일 기업 연합 '카테나X'도 뛰어들었다. 닛산 등이 가입한 MOBI는 카테나X의 상위 조직과 협력하며 일본과 유럽 간 데이터 연계를 추진할 계획이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