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재계 성장전략 TF 1차 회의

정부와 재계가 미래 성장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민관 원팀 의지를 다시 한번 다지면서 기업의 역할과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기획재정부와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경제인협회 등 경제 6단체는 5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 1차 회의를 열었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손경식 경총 회장 등이 참석했다. 성장전략TF는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비상경제TF의 바통을 구 부총리가 이어받아 중장기 경제 성장 전략 등을 논의하는 자리다.
구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 “기업을 한국경제 ‘모든 것의 중심’에 두고 글로벌 1위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전력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의 갈라파고스 기업 규제를 전면 재검토하는 한편, 기업 규모별 지원방식에서 벗어나 성장을 위한 기업활동에 지원이 집중될 수 있도록 바꿔 나가겠다”며 “배임죄를 비롯한 형벌을 금전벌 등으로 전환해 기업 최고경영자(CEO)의 형사처벌 리스크를 완화하는 동시에 피해자에게는 실질적인 손해배상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무엇보다도 성장을 하려면 성장을 일으킬 수 있는 주역인 기업 활동의 자유와 창의가 보장될 수 있도록 제도 설계를 해 주셨으면 한다”며 “기업이 성장할수록 차별적 규제를 받는 것은 지양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관세 협정에서 민간의 원팀 전략이 주요했다. 앞으로 우리 경제가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도록 앞으로 기업인들은 정부에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 부총리와 최 회장은 지난달 31일 타결된 한미 간 관세협상 이후 대응에 관해서도 언급했다. 구 부총리는 “이전에 비해 기업 부담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라며 “기업과 늘 소통하면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계속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큰 틀에서 (한미 관세) 합의가 이뤄졌지만, 디테일도 계속 조율을 해 주시고 실행 과정에서도 협상을 잘 챙겨주시길 부탁드린다”며 “특히 투자 측면에서 양국의 시너지가 날 수 있는 최선의 분야와 방법을 찾는 것이 숙제인 것 같다”고 했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