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75GWh·유럽 32GWh 등 지역별로 계약 맺어
차세대 원통형 제품인 46시리즈 배터리 공급 추정
현지 생산 능력과 우수한 기술력이 수주 따낸 비결
중국 업체들 장악한 글로벌 배터리 시장서 반등 시동
차세대 원통형 제품인 46시리즈 배터리 공급 추정
현지 생산 능력과 우수한 기술력이 수주 따낸 비결
중국 업체들 장악한 글로벌 배터리 시장서 반등 시동

3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벤츠와 총 107GWh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두 건으로 구성된다. 우선 북미 지역에 75GWh 규모 배터리를 오는 2029년 7월부터 2037년 12월까지 공급한다. 나머지 32GWh는 유럽 지역으로, 2028년 8월부터 2035년 12월까지 납품한다. 합산 100GWh를 넘는 물량으로, 전기차 약 15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계약 세부 내용은 경영상 비밀을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다. 그러나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공급 배터리가 46시리즈(지름 46㎜) 원통형 배터리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계약 금액은 15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46시리즈 배터리 기준 사상 최대 규모다. 이번 계약으로 벤츠와의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 계약은 총 3건으로 늘었다. 앞서 지난해 10월 LG에너지솔루션은 벤츠와 50.5GWh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 이 역시 46시리즈 계약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사실상 세 건 모두 46시리즈 배터리라는 의미다.
LG에너지솔루션은 벤츠 외에도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인 리비안(67GWh), 중국 체리자동차(8GWh)와도 46시리즈 배터리 공급 계약을 각각 맺었다. 이를 모두 합하면 46시리즈 배터리로만 수십조원의 수주 잔고를 확보했다. 46시리즈 배터리는 기존 원통형 배터리 대비 에너지 용량과 출력이 최소 5배 이상 높고 생산 효율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주행거리와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시장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공급 계약으로 기대되는 부분은 미국, 유럽 등 주요 전기차 시장에서 한국산 배터리 입지 강화다.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해외 시장 진출에 적극 나서며 K-배터리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계약을 체결한 벤츠의 경우 CATL, 파라시스 등 중국 배터리 업체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고 있었다.
배터리 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까지 벤츠는 중국 배터리를 주로 사용을 했었다"면서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많이 바뀌었다. 기술력과 현지 생산 능력을 확보한 K-배터리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