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데스크칼럼] 금융소비자에 이익, 대환대출 플랫폼 도입 서둘러야

공유
0

[데스크칼럼] 금융소비자에 이익, 대환대출 플랫폼 도입 서둘러야

금융증권부 이종은 부장
금융증권부 이종은 부장
고승범 위원장이 떠난 자리에 김주현 내정자가 지난 11일 새롭게 금융위 수장이 되면서 대환 대출 플랫폼 도입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는 모바일 등을 통한 비대면으로 여러 금융사의 대출 상품의 금리와 한도를 비교해 기존 대출을 조건이 더 좋은 대출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다만, 월간 활성이용자(MAU) 이탈을 우려한 은행들이 빅테크 종속화를 이유로 반대에 나서자 지난해 추진하던 대환대출 플램폼 도입은 무산됐다.
하지만 1년여만에 상황이 바뀌었다. 급격한 금리 인상기를 맞아 지난 13일 금통위에서는 사상 첫 3회 연속 기준금리 인상이자 '빅스텝(0.5%p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 급증에 여야 모두 은행들의 이자 장사를 지적하며 대출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등 고강도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금융소비자들도 은행이 대환 대출 플랫폼 도입을 반대하는 것에 대해 썩 곱게 보지 않는다. 그들은 은행들이 빅테크 종속 심화를 우려해 빅테크의 임의 상품 추천 등으로 소비자 선택권을 침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에 썩 동조할 수 없다. 오히려 은행들이 짭짤한 이자 장사를 포기할 수 없다는 사심을 드러낸 것으로 본다.

물론 은행들은 빅스텝에 따른 조달 비용 등 코스트 증가에 따라 예적금 금리를 인상함으로써 예대 금리차를 축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관치 금융'이라는 볼멘 소리도 나오지만 금융소비자들에게는 반가운 행보다. '자의 든 타의 든' 결국 할 수밖에 없으니 하는 것이라면 선제적 행보가 더 아름답지 않았을까?

일례로 지난 7월1일부터 씨티은행의 8조원 규모의 개인 신용대출 자금을 잡기 위한 은행들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씨티은행과 제휴를 맺은 KB국민은행과 토스뱅크가 대출 갈아타기 업무에 본격 돌입했다. 이에 다른 시중은행들은 제휴은행보다 약 10배 이상 높은 우대금리를 제시하는 등 출혈을 감수하면서 적극적인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만약 지난해 대환대출 플랫폼이 도입됐더라면 더 많은 금융기관과 빅테크·핀테크 기업 등이 대환대출에 참여하면서 훨씬 다양하고 좋은 조건과 이벤트 경쟁을 벌이면서 차주들에게는 더 많은 이자 경감 등 혜택을 제공했을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대출 포트폴리오 제공 플랫폼 '핀다'의 경우, 지난달 30일 자사의 대환대출을 여러 번 할수록 차주의 신용도가 높아졌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자사의 대환대출 관련 장점을 피력한 바 있다.
핀다는 대환대출 1회 이용 고객보다 2회 이용 고객의 신용점수 상승률이 7%p 더 높았으며, 2회에서 3회 이상으로 횟수가 늘 때, 3%p 높아져 1회 이용 고객과 3회 이상 이용 고객 간 신용점수 상승률 격차는 10%p까지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대환대출 진단 알림' 기능을 통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앱에 접속한 고객은 평균 3.8%p의 금리를 낮추고, 한도를 1360만원 높였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일각에서는 대환대출을 통해 금리가 낮아진다면 은행의 부실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중장기적으로 도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금융소비자가 쉽게 금리 비교를 할 수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 도입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최근 급격한 금리 상승기에 9월 코로나19 금융지원이 종료를 앞두고 취약 차주들의 채무상환 능력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을 맞고 있다. 차주들이 무너지면 피해는 결국 은행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환대출 플랫폼의 도입이 어차피 가야 하는 길이라면 서두르는 편이 바람직하겠다. 은행들이 월간활성이용자(MAU)에 대한 집착을 줄인다면 상생의 길도 보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종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zzongy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