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태를 계기로 등장한 K-시위는 비폭력적이고 질서 정연하게 진행되며 시민들의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많은 이들이 촛불을 들고 거리를 가득 메우며 평화적으로 정부에 대한 불만과 변화를 요구하는 장면은 세계 언론에도 긍정적으로 소개됐다. 일부 외신들은 이를 "민주적 의사표현의 새로운 표본"이라며 찬사를 보냈다.
하지만 금속노조의 대응은 전혀 다른 모습으로 대비된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발표 직후, 금속노조는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며 전면 파업을 선언했다. 현대차·기아 등 주요 완성차 생산라인의 가동 차질은 물론, 수많은 중소 협력업체까지 연쇄적인 피해를 입었다. 노조의 파업은 노동자의 권익을 대변하는 필수적 수단이지만, 경제적 불확실성이 극대화된 현시점에서는 업계 전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번질 우려가 크다. 차량 생산이 멈추고 공급망이 마비될 경우 내수 시장은 물론 글로벌 수출 시장에서도 신뢰를 잃을 수 있다.
여기서 문제는 파업이 단순한 요구 전달을 넘어 산업 전체에 혼란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K-시위가 보여준 평화적 소통 방식은 자동차 업계 노사 갈등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노조는 노동자의 권익을 지키되, 산업 전체가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받지 않도록 절제된 대응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친 신뢰 회복을 위한 필수 과정이다. 정부 역시 노조와 기업 사이의 갈등 조정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육동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dy33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