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영세 농가의 재생력을 높이겠다는 것이 이 보험의 취지. 정부는 가입 농가 유인을 위해 재해 인정 품목을 꾸준히 늘릴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는 올해에도 보험 대상 농작물을 늘리고 보상 기준도 넓힌 바 있다.
문제는 손해율이다. A 지역에 갑작스러운 한파가 닥쳐 농작물이 얼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면 ‘농작물손해보험의 손해율도 상승하겠구나’라고 생각하면 된다. 상대적으로 재해의 여파를 덜 받는 작물과 지역은 손해율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지만, 날씨 환경의 영향을 직격으로 받는 품목은 손해율을 악화시키는 주범이다.
이처럼 농작물재해보험은 이익이 나기는커녕 손해가 안 나면 다행인 보험상품이다 보니 여타 보험사들은 무관심할 따름이다. 이는 2001년 제도 도입 이래 현재까지 농협손보만이 홀로 운영에 총대를 메는 이유다. 여러 민간 보험사가 운영하는 가축재해보험·풍수해보험 등과 달리 농작물재해보험은 외부 환경에 극도로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선 농식품부와 농협손보,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세 축으로 이뤄지던 농작물손해보험 손해율 산정 구조에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후 관련 연구기관이 참여해 심층적인 손해율 산정에 나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단숨에 성과가 나지 않는다고 해서 장기 투자가 필요한 ‘기후 공부’를 소홀히 해선 안 된다. 농작물재해보험의 안정적인 운영 틀이 잡힌다면 그 수혜는 정부와 보험사, 농업인 모두에게 돌아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하이테크주 상승 주도로 반등](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091613521102599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