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공항공사는 항공기 운항과 항공안전 강화를 위해 기존에 시행하던 ‘인천공항 조류충돌예방위원회’ 제도를 확대·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최근 항공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높아진 점을 반영한 조치로 조류충돌예방위원회 내실을 다지고 전문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올해부터는 조류충돌예방위에 참여할 기관 및 자문위원 선정까지 개방했다.
우선 조류충돌예방위에 중구청, 국립생물자원관, 조류민간단체, 공군항공안전단, 조종사협회, 항공사의 참여를 개방한 것이 특징이다. 위원장도 서울지방항공청과 인천공항공사가 공동으로 맡는다.
또 조류 생태학‧행동학, 유해 야생동물관리 등 현장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영입해 조류충돌예방의 전문성을 높였다. 이기섭 한국물새네트워크 대표와 김철훈 야생생물관리협회 부회장을 신규 위원으로 위촉했다.
공사는 지난 27일 인천공항공사 청사에서 2025년 상반기 정례회의를 열고 주제발표를 통해 공사의 조류충돌예방 강화 방안과 신규장비 운영 방안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 및 건의사항 등 다양한 논의도 진행했다.
인천공항공사는 기존 조류충돌 방지 대책에 대한 개선사항 발굴과 함께 정례회의를 통해 제시된 조류충돌예방·개선안을 바탕으로 ‘조류충돌 위험관리체계’를 구축, 조만간 실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학재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각계 전문가와 협력과 소통을 강화해 조류충돌 예방책을 개선하고 항공기 운항안전을 확보하겠다”며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더욱 안전한 공항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