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유·가스전 활용 탄소 포집·저장 연구
부유식 이산화탄소 주입시스템 설계 맡아
부유식, 고정식 보다 인프라 구축비 적어
“글로벌 탄소 감축 시장 진출 교두보로”
부유식 이산화탄소 주입시스템 설계 맡아
부유식, 고정식 보다 인프라 구축비 적어
“글로벌 탄소 감축 시장 진출 교두보로”

현대건설은 지난 13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동남아시아 분산 CCS 저장소 운영을 위한 순차 이전 확장형 부유식 CCS 시설 및 CO₂ 주입 개념/기본설계 기술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총 42개월간 8개 민·관·학 기관과 함께 국책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CCS 기술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모아 땅속 깊은 곳에 안전하게 주입해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이다.
현대건설이 이번에 수행하는 국책 과제는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의 고갈된 유·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활용하기 위한 부유식 이산화탄소 주입 시스템의 개념과 기본설계 기술을 확보하는 것으로 총 연구비는 58억원에 이른다.
현대건설은 이번 연구에서 선박을 활용한 부유체 외에도 세계 최초로 바다 위에 뜰 수 있는 부유식 콘크리트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주입 시스템을 개발하고 기본설계승인까지 확보해 사업모델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인프라 구축비용을 기존 고정형 방식에 비해 25%까지 절감할 전망인 만큼 향후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CCS 사업 확대에도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지금까지 해양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때는 바다 밑에 고정된 구조물과 배관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주입했다”며 “하지만 저장소가 여러 군데 흩어져 있는 경우 모듈형 주입 설비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활용할 수 있는 부유식이 훨씬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특히 이번 부유식 CCS 기술은 블루 수소, 블루 암모니아 사업에도 활용도가 높다고 전했다.
수소나 암모니아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해양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면 생산·저장·이송 전 과정의 탄소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대건설은 이번 연구를 통해 부유식 수소 생산, 해상 암모니아 합성 설비 등 해상 탄소중립 클러스터까지 확장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부유식 CCS 기술은 해상 토목·플랜트 분야에 강점이 있는 현대건설이기에 가능한 의미 있는 도전”이라며 “이번 과제를 국내 이산화탄소를 해외로 이송·저장하는 국경 통과 CCS 사업에 활용해 글로벌 탄소 감축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삼겠다”고 밝혔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