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현대건설, 부안에 국내 첫 상업용 청정수소 생산시설 준공

글로벌이코노믹

현대건설, 부안에 국내 첫 상업용 청정수소 생산시설 준공

24일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서 준공식
국내 첫 상업용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
하루에 수소 1t 생산…에너지자립 도모
현대건설, 에너지전환사업 공략 가속도
현대건설은 24일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의 준공식을 열었다. 현대건설의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사진=현대건설이미지 확대보기
현대건설은 24일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의 준공식을 열었다. 현대건설의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로 상업용 수전해(물 전기 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건설을 완료하며 수소 사회를 향한 큰 걸음을 내디뎠다.

현대건설은 24일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의 준공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 권익현 부안군수,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 김형일 한국수력원자력 에너지믹스사업 본부장 등 지자체 및 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에 준공한 수소 생산기지는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의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구축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프로젝트다. 부안군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의 5000여㎡의 부지에 수전해 기술을 적용해 수소 생산·저장·공급이 가능한 설비를 건설하는 공사다.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전북테크노파크, 한국수력원자력,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 테크로스 환경서비스와 함께 수행하고 있는 이 사업에서 현대건설은 수소 플랜트 분야 전문 인력을 투입해 총괄 설계 및 기자재 구매, 시공 등을 담당했다.

현대건설은 올 연말까지 시운전을 통해 운전 최적화와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완료해 2026년부터 상업용 수전해 수소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하루 1t 이상을 생산할 예정이다.

1t의 수소는 차량 150대 정도를 충전할 수 있는 양이다. 이곳에서 생산된 수소는 부안군 내 수소 연구시설과 수소 충전소에 공급된다.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은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할 경우 온실가스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그린 수소로 불리며 미래 수소사회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생산기지가 위치한 부안군은 서남권 해상풍력, 새만금 수상태양광 등 국내 최대 규모의 재생에너지 기반을 확보하고 있고 신재생에너지단지 내에도 태양광·풍력·수소 관련 연구 및 생산시설이 들어서 있어 그린 수소 생산 및 활용에 유리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현대건설은 수소 생산기지 준공에 이어 ‘부안 수소도시 조성사업 마스터플랜 및 세부시설 계획 수립’ 용역도 수행하고 있어 수소 에너지를 활용한 전북 및 부안 지역 친환경 에너지 자립 도시 구축에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국내 최초의 상업용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를 성공적으로 준공하게 돼 대단히 기쁘다”며 “현대건설은 수소 생산·운송·저장 등 수소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사업 역량 강화를 통해 현대자동차그룹의 수소 생태계 구축에 일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건설은 24일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의 준공식을 열었다. 준공식에서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왼쪽에서 첫 번째),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왼쪽에서 네번째), 권익현 부안군수(왼쪽에서 다섯 번째) 등이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사진=현대건설이미지 확대보기
현대건설은 24일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의 준공식을 열었다. 준공식에서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왼쪽에서 첫 번째),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왼쪽에서 네번째), 권익현 부안군수(왼쪽에서 다섯 번째) 등이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사진=현대건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