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기준 세계 물산업 규모는 약 5000억달러로, 반도체 세계시장 규모 약 2800억달러, 조선 세계시장 약 2500억달러보다 2배 정도 더 큰 산업으로 성장했다.
OECD에 따르면 2025년에는 통합 물 관리 시장의 인프라 투자수요가 1조37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는데, 이는 2410억달러의 전기 시장 투자와 1710억달러의 통신 시장 투자 규모를 훨씬 상회하는 규모다.
국제연합(UN)은 물 소비 증가추세가 지속된다면 20년 후에는 18억명의 인구가 물이 고갈된 지역에서 살게 될 것이며 50억명은 물 공급이 수요를 충족하기 힘든 지역에서 생활하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에 정부는 13조원 규모인 국내 물 시장을 2020년까지 26조원 규모로까지 성장시키고, 물 관련 산업 분 세계 100위권 기업을 만들어 낼 계획을 가지고 있다.
2015년 ‘물’의 올림픽인 세계물포럼을 국내 경상북도에 유치하는 등 그 행보를 빠르게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물 관련 산업에서 ‘시노펙스’가 수면위로 급부상하고 있어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핵심소재 원천기술 확보 및 개발 주력
경상북도는 2015년 제7차 세계물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물 관련 주요 5개 기업과 MOU를 체결했다.
업무 계약을 체결한 기업은 코오롱인더스트리, 웅진코웨이, 일본 도레이첨단소재, 제일모직, 시노펙스 등이다.
대기업도 아닌 시노펙스가 경상북도와 성공적인 세계물포럼을 위해 선정한 기업에 포함된 것은 이례적인데 그 이유는 바로 시노펙스가 물 산업 핵심 부품 소재 기술개발에 강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용 특수포장지 전문기업이었던 시노펙스는 물질의 투과와 관련된 핵심소재를 연구하며, 멤브레인 분리막에서도 약 20여년의 연구개발을 진행했다.
물 산업의 핵심소재인 멤브레인 분리막 연구개발을 하며, 세계적인 글로벌 해외기업이 독점하던 산업용 필터 시장에 조금씩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분리막 필터는 액체 또는 기체로부터 오염입자를 다공성의 여과매체로 마이크로 입자까지 걸러낼 수 있는 첨단소재 분야다.
현재는 국내외 주요 반도체 및 LCD 생산라인, 제약 산업 위주에서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나, 물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정수처리장에서도 분리막 제품이 활용되고 있다.
나노기술을 적용한 고성능 필터를 개발 및 공급하고 있는 시노펙스는 신성장동력산업으로 불리는 고도 물처리 산업의 핵심기술력을 확보하고, 수입의존도가 높은 고성능필터 제품의 국산화에 앞장서고 있다.
최근에는 ‘3M’에서 독점 수입해서 쓰이던 정유과정용 필터를 국산화에 성공하고 모 대기업 정유회사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먹는 물부터 최첨단 산업까지 다양한 필터제품 보유
시노펙스의 주요 필터 제품은 ▲내화학성, 내열성이 우수한 Depth Cartridge Filter ▲넓은 여과면적, 고유량용으로 설계된 Pleated Cartridge Filter ▲바이오 산업에도 쓰이는 고부가가가치 Membrane Cartridge Filter ▲대면적과 고용량, 긴 수명의 High Capacity Cartridge Filter
▲반도체 슬러리 공정에 쓰이는 CMP Cartridge Filter ▲멜트 블라운 방식의 안정성 및 사용용도가 광범위한 MLCC Cartridge Filter ▲저용량 처리에 적합하고 하우징이 필요 없는 Capsule Filter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수입대체 할 수 있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및 출시하고 있다.
운용, 유지보수, 폐수수탁 처리까지 토탈 솔루션 제공
시노펙스는 고성능 필터를 이용해 다양한 오염수 처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고성능 필터에 대한 연구개발 엔지니어링 기술개발 없이는 불가능한 사업분야로 약 15개의 관련 특허를 획득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특허 취득 계획을 가지고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꾀하고 있다.
먼저 오수·하수·폐수처리 시스템은 각종 폐수를 막분리 공정을 통해 공업용수 이상의 수준으로 효율적으로 처리, 방류 및 재이용하는 방식이다.
기존 생물학적 처리 공정 후단에 막분리 공정을 추가해 색도 및 냄새 등을 완벽히 제거하고, 법적 방류수 배출허용기준을 충족시켜 방류 및 재이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처리수를 확보한다.
폐수발생량을 감소시키며, 공업용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시스템이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해수·지하수 담수화 시스템은 삼면이 바다이고 섬 지역 등에서 해수나 지하수에 포함된 염도를 제거해 생활수나 식수로 사용하는 기술로 원천소재기술부터 시스템, 설비, 서비스 운영까지 시노펙스의 고도수처리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다.
독도의 동도와 서도에 해수담수화 설비의 시스템 및 운용은 시노펙스가 담당하고 있다.
특히 기장에 설치 공사 중인 대규모 막 방식의 해수담수화 설비에 시노펙스가 참여, 막 방식 해수담수화 필터 및 시스템을 공급 테스트 할 예정이라 국내에도 해수담수화 사업이 활발히 진행될 경우 시노펙스의 수혜가 예상된다.
순수·초순수물(Demineralized Water) 시스템은 반도체 산업, 발전소, 화장품, 의약, 식품, 발전소 등의 주요 공정에 사용된다.
초순수물은 지하수 및 강물 등의 물 속의 이온성분, 미세한 입자, 박테리아, 미생물, 용존가스 등을 제거한 정제된 물로 DIW(De-Ionized Water) 또는, UPW(Ultra Pure Water)로 표현하며, 물의 해리에 의해 수소 이온 및 수산화물 이온 이외의 전해질이 전혀 없는 물을 뜻한다.
시노펙스는 최첨단 산업분야 산업에 주로 쓰이는 이 시스템을 삼성전자 등에 공급하고 있다.
발전폐수 처리 시스템은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일상폐수, 일시폐수가 중화, 응집, 침전 및 여과 등의 처리과정을 거치고 함유폐수가 유수 분리기에서 기름성분이 제거된 후 일상폐수조로 유입돼 동일한 처리과정을 거처 처리하는 기술이다.
시노펙스는 최근 베트탐 몽둥항 화력발전소 폐수처리 시스템을 수주하기도 했다.
가축분뇨 처리 및 자원화 시스템은 해양오염방지를 위해 2012년 해양투기 금지에 따른 가축분료의 처리를 위한 기술로 가축분료 처리 시설 확보와 자원화를 통한 친환경적 처리방안으로 시노펙스가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음식물 폐수처리 시스템은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물을 요리하기 전에 버려지는 쓰레기와 먹고 남은 음식물 찌꺼기, 식품의 제조와 유통과정 등에서 발생되는 식품 찌꺼기를 시노펙스만의 필터 기술로 제거하는 것으로 중소규모 음식물 폐수가 나오는 사업장에서 시스템 운용 유지보수를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시노펙스만이 가진 원천 특허기술로 확보하고 있는 사업으로 염수재이용 시스템이 있다.
이 기술은 김치 제조시설 중 김치의 맛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인 김치절임공정에서 사용되는 염수(염분농도 10~30%)의 재이용 기술로 멤브레인을 폐염수에 적용, 염수에 포함된 염분의 90% 이상을 회수해 재사용할 수 있어 비용절감 효과 뿐만 아니라 폐수처리 발생량도 기존의 10분의 1 정도로 줄일 수 있다.
분리막 핵심기술로 모든 수처리 시스템 설계 시공 가능
세계 최고 수준의 분리막 생산기술을 보유한 시노펙스는 십수년에 걸쳐 고성능 필터에 대한 연구·개발을 계속해왔다.
그 결과물로 생활용수 공급에 곤란을 겪는 지역단위의 간이 정수처리 시설에서부터, 전세계 이슈가 되고 있는 해수담수화 등의 고도수처리 분야에 이르기까지 시노펙스는 모든 물 사업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과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물 관련 산업은 큰 수익성을 갖는 사업임과 동시에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생각하는 사회 환원적 성격을 띠고 있다”며 “시노펙스 목적 또한 인류가 물 부족을 겪지 않고 평등하게 물의 혜택을 받으며 사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시노펙스는 포항시 및 경주시와 연계해 일 정수처리 30~120톤 규모의 마을 단위 고도정수처리설비 30여 곳을 설치 완료해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국 마을 단위 간이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설비의 대규모 공급을 준비하고 있다.
물 부족 및 오염문제 해결을 위해 글로벌 녹색성장기업으로 한단계 도약을 꿈꾸는 시노펙스의 선전이 기대되고 있다.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