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분석] 줄줄이 상장 폐지되는 국내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

글로벌이코노믹

[분석] 줄줄이 상장 폐지되는 국내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천연가스 선물의 지난 1년여간 가격 변동 추이. 자료=네이버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천연가스 선물의 지난 1년여간 가격 변동 추이. 자료=네이버
국제 에너지 기초 상품인 천연가스의 선물 가격 하락으로 국내 천연가스 ETN(Exchange Traded Note, 상장지수증권) 시장에도 찬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ETN은 원자재, 환율,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한 채권 형태의 파생결합증권으로 국내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은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되는 천연가스 선물의 일일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하고 있습니다.

천연가스 선물 수익률이 오르면 레버리지 효과로 2배의 수익을 낼 수 있지만 선물 가격이 하락하면 마찬가지로 2배의 손실을 당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천연가스 선물 가격은 1년여전 계약단위 1만 MMBtu(열량 단위)당 9 달러를 오르내렸으나 지난 2일의 천연가스 선물 가격은 2.17 달러로 장을 마감해 연초대비 1/4 수준으로 내린 상태입니다.
1년여전에 국내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에 가입한 투자자들은 선물가격 하락보다 2배의 레버리지 만큼 손실이 더 커진 셈입니다.

천연가스 선물 가격이 급락하자 이를 2배로 추종하는 국내 ETN들은 줄줄이 조기 청산되거나 상장 폐지되는 운명을 맞고 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9개 증권사가 발행한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 가운데 삼성증권과 NH투자증권을 제외한 나머지 7개사가 발행한 상품이 모두 조기청산과 상장폐지 절차를 완료했거나 절차를 앞두고 거래가 정지된 상태입니다.

대신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의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은 지난 2일 상장 폐지됐고 나머지 5개사 ETN도 오는 7일 상장 폐지될 예정입니다.

이들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이 상장 폐지되는 것은 실시간 지표 가치가 1000원 미만으로 떨어져 ETN 조기청산 사유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ETN 상장과 관련해 장 종료 시점에 실시간 지표가치가 1000원 미만인 경우 ETN을 조기 청산한다는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은 2020년 7월말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습니다.

삼성증권의 레버리지 천연가스 선물 ETN B는 지난 2일 종가가 1075원으로 마감되면서 실시간 지표가치가 1000원 이상을 유지해 조기청산 요건을 피했습니다.

NH투자증권의 QV 블룸버그 2X 천연가스 선물 ETN(H)의 지난 1년여간 주가 변동 추이. 키움증권 HTS 캡처이미지 확대보기
NH투자증권의 QV 블룸버그 2X 천연가스 선물 ETN(H)의 지난 1년여간 주가 변동 추이. 키움증권 HTS 캡처

그러나 NH투자증권의 QV 블룸버그 2X 천연가스 선물 ETN(H)은 지난 2일 945원으로 장을 마감했고 실시간 지표가치가 930원대로 떨어져 조기청산·상장폐지 사유를 충족하는데도 거래가 정지되지 않았습니다.

NH투자증권이 천연가스 선물 ETN 투자설명서에 조기 청산 요건 약정을 빠뜨려 어쩔 수 없이 상장이 유지되어야하기 때문입니다.

NH투자증권의 실수로 거래가 유지된 QV 블룸버그 2X 천연가스 선물 ETN(H) 만기는 2025년 10월입니다.

다른 증권사 ETN 투자자들이 만기 전 조기청산으로 손실을 확정하게 됐지만 NH투자증권 ETN 투자자들은 당장은 상장폐지를 피할 수 있지만 천연가스 가격 향방에 따라 손실을 만회할 수도 있고 반대로 손실이 더 커질 수 있는 상황을 맞게 된 셈이다. 물론 NH투자증권 천연가스 ETN 투자자들은 당장이라도 장내에서 손해를 감수하고 보유 주식을 팔수도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마련된 규정을 설명서에 빠뜨린 NH투자증권과 이를 상장 과정에서 확인하지 못한 한국거래소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의 QV 블룸버그 2X 천연가스 선물 ETN(H)에 투자한 투자자와 이를 투자자에게 적시에 알리지 않은 NH투자증권과 한국거래소와의 책임문제도 논란을 빚을 것으로 보입니다.

증권용어 ETN

ETN(Exchange Traded Note, 상장지수증권)은 증권사가 자사의 신용에 기반해 발행하며 기초지수 수익률에 연동하는 수익을 약속하는 증서입니다.

ETN은 원자재, 환율,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한 채권 형태의 파생결합증권입니다. 채권과 원자재, 통화, 주식, 선물 등에 투자해 해당 상품가격이 오르면 수익률도 따라 오르게 되지만 가격이 하락하면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됩니다.

금융회사인 증권사가 자기신용으로 발행하고 ETF(상장지수펀드)처럼 거래소에 상장되기 때문에 시장에서 ETN을 자유롭게 사고팔수 있습니다.

증권사가 미리 약정한 기초지수 수익률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하기 때문에 조건이 충족하면 수익을 낼 수 있지만 기초상품의 가격이 하락하면 강제청산이나 상장폐지되면서 손실을 당할 수 있습니다.

ETN은 원유나 천연가스 등 에너지 상품에도 투자할 수 있고 투자자들이 주식이나 ETF와 같이 ETN을 팔아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국내 지수와 연계한 상품은 세금이 없지만 해외 지수 연계상품, 원자재 상품 등에 대해선 매매차익 중 15.4%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ETN은 ETF와 비슷하지만 발행 주체가 자산운용사가 아닌 증권사이며 1년 이상 20년 미만의 만기가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ETN은 ETF와 달리 기초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신용으로 대체하고 있어 시장이 폭락하면 투자자 뿐만 아니라 증권사도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원유 ETN의 경우 유가 폭락으로 원유 선물 ETN 투자자들의 손실이 커져 소비자경보 최고 등급인 위험 등급을 발령한바 있습니다.


김대성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kimds@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