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크래프톤 VS 엔씨소프트, 기업가치 가른 '평판 리스크'

글로벌이코노믹

증권

공유
0

크래프톤 VS 엔씨소프트, 기업가치 가른 '평판 리스크'

'같은' 높은 단일 IP 의존도...게이머 신뢰가 만들어낸 실적 차별화

단일 지적재산권(IP) 의존도가 높은 크래프톤과 엔씨소프트의 실적 및 주가가 차별화되고 있다. 게임성을 중시하고 과도한 과금체계를 기피하는 게이머들의 게임사에 대한 평판이 작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게임주들은 지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지난 2021년 정점을 찍은 이후 현재까지 큰 폭의 하락을 경험했다. 개발 지연 문제와 중국의 ‘한한령’이 동시에 영향을 미치면서 실적 회복 시기가 묘연해진 탓이다.
여전히 모멘텀을 찾지 못하는 게임사가 있는가 하면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반등 기회를 모색하는 기업이 있다. 전자의 대표주자는 엔씨소프트, 후자는 크래프톤이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단일 지적재산권(IP)를 보유하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리니지’ 외에도 '블레이드앤소울', ‘아이온’, ‘길드워’ 등 여러 IP가 존재하지만 리니지 의존도가 높아 사실상 ‘리니지 단일 IP’를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엔씨소프트는 쓰론앤리버티(TL)를 내놨지만 결과는 부진했다. 심지어 일부 유저들은 ‘TL’을 ‘더 리니지’(The Lineage)라며 조롱하기도 했다. 엔씨소프트는 여전히 리니지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며 실적 부진과 함께 주가는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한편, 배틀그라운드 단일 IP를 보유한 크래프톤은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12.8% 상승한 534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도 1643억원을 기록해 예상치를 훌쩍 뛰어 넘었다. 비수기에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증권사들도 놀라는 분위기다.
감성분석 결과 엔씨소프트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 게임성 부족과 과도한 과금체계 등이 게이머들로 하여금 등을 돌리게 만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진=딥서치이미지 확대보기
감성분석 결과 엔씨소프트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 게임성 부족과 과도한 과금체계 등이 게이머들로 하여금 등을 돌리게 만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진=딥서치
엔씨소프트와 크래프톤의 실적을 가르는 가장 큰 요인은 과금체계다. 엔씨소프트 게임은 수년전부터 과도한 과금체계로 지적을 받아왔다. 과금을 하지 않으면 게임 진행이 어려울 정도다. 반면, 크래프톤 게임은 과금을 하지 않다도 게임을 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다. 이러한 차이점이 결국 게임을 넘어 게임사에 대한 평판으로 확산되고 있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엔씨소프트의 과도한 과금체계가 게이머들에게 어필이 되고 있지 않다"며 "설령 게임이 성공해도 기업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밸류 리레이팅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플랫폼 딥서치에 따르면 크래프톤에 대한 감성분석 결과 지난 2022년 저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엔씨소프트는 지난달 2022년에 기록한 저점을 하회하기도 했다. 같은 기간 크래프톤은 긍정적, 엔씨소프트는 부정적 평판이 각각 더 늘었다는 뜻이다.
감성분석 결과 크래프톤은 긍정적 평판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게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과금체계와 꾸준한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비수기에도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사진=딥서치이미지 확대보기
감성분석 결과 크래프톤은 긍정적 평판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게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과금체계와 꾸준한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비수기에도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사진=딥서치
기업가치 다른 방향을 보이고 있다. 작년 10월을 저점으로 크래프톤 주가는 우상향하고 있는 반면, 엔씨소프트 주가는 같은 기간 더 하락했다. 양사의 PBR 밴드를 보면 크래프톤은 밴드 하단에서 주가가 멈추고 반등하고 있지만 엔씨소프트는 밴드 하단을 뚫고 내려가는 중이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엔씨소프트가 게이머들과 투자자들의 신뢰를 크게 잃었다"며 "유기적인 성장 전략으로는 기존 유저들의 부정적 인식 탓에 신뢰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인수합병(M&A)을 통한 성장 의지를 내비쳤으나 ‘엔씨소프트화’될 것이라는 인식을 사전에 차단하지 않으면 기업가치 회복에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성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sk1106@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