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경유 제품에 40% 관세 위협받자 환적 대신 현지화 전략
동남아 경제학자 "장기적 지역 통합이 관세 보호막 역할"
동남아 경제학자 "장기적 지역 통합이 관세 보호막 역할"

싱가포르 소재 아세안+3 거시경제연구실(AMRO)의 동허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3일 "중국 관리들은 자국 기업이 지역 경제에 더 깊이 뿌리박히거나 통합되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물론 동남아시아 당국들이 제품의 원산지를 확인할 것"이라며 일부 국가들이 이미 미국과 이 같은 내용으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이달 초 베트남과 기타 23개 무역 상대국으로부터의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베트남을 통해 우회된 수입품에는 40%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며, 이는 베트남에서 직접 생산된 제품에 대한 20% 관세의 두 배 수준이다.
모건스탠리 추정에 따르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품은 평균 42%의 관세율에 직면하고 있으며,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8월 1일부터 25-40%의 관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실제로 2018년 미·중 무역전쟁 이후 중국은 아세안 국가들과의 무역 및 투자를 크게 강화했다. 세관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과 아세안 간 상품 무역은 2023년보다 7.8% 증가한 9,823억 4천만 달러를 기록해 중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로 EU를 공고히 했다.
베트남은 트럼프 첫 임기 이후 중국 공장 투자가 대거 유입되며 주목받고 있지만, 환적 조항의 실제 작동 방식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트럼프 취임 전 말레이시아와 태국 당국자들은 미국으로의 환적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백악관은 22일 인도네시아와 무역협정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인도네시아는 미국이 제안한 관세율을 19%로 낮추는 대신 미국 공산품과 식품의 "모든 범위"에 대한 관세 장벽을 철폐하기로 했다. 필리핀과도 비슷한 협정이 체결됐다.
동허는 일부 아시아 국가들이 달러가 신뢰할 수 없게 될 경우를 대비해 중국 위안화를 미국 달러의 부분적 "백업"으로 주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낮은" 위안화 금리가 "중요한 자금 조달 통화"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AMRO는 이날 아세안+3 지역이 2025년 3.8%, 2026년 3.6%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진화하는 미국의 관세 조치" 영향으로 이전 예측치인 4.2%와 4.1%보다 하향 조정된 것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