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T·LG유플러스, ‘해킹 가능성’ 일파만파…李대통령 “징벌적 과징금 부과해야”

글로벌이코노믹

KT·LG유플러스, ‘해킹 가능성’ 일파만파…李대통령 “징벌적 과징금 부과해야”

李 대통령 “해커 침입 빈번. 대책 강구해야”
광명시 KT사용자 20명 해킹 범죄 피해까지
시민단체 “통신사 미온적, 강력 조사 해야”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9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9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KT·LG유플러스의 해킹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최근 KT 사용자들이 해킹이 의심되는 사건으로 집단 피해를 보는 일이 발생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자꾸 발생되는 해킹 사태에 대해 징벌적 과징금을 거론하기도 했다. 시민단체 중심으로 정부 차원에서 KT와 LG유플러스를 조사해야 한다는 여론도 일고 있다.

5일 경찰 발표에 따르면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거주하는 KT 사용자 20여명이 지난달 1769만원의 금전적 손해를 입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80만원 상당의 모바일 상품권 충전이 62차례 일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광명경찰서는 해킹 범죄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경기남부경찰서로 사건을 이첩했다. 이 사건의 범죄 피해가 KT본사 내부망 해킹에 의한 것인지, 유통망 정보 탈취에 따른 것인지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다.

SK텔레콤에 이어 KT와 LG유플러스까지 해커 침입이 거론되면서 광명시에서 발생한 사건과 연관 짓는 시각들이 늘고 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까지 나서 정부 차원의 조사와 기업들의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지난 4일 이 대통령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일부 업체들은 같은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해킹 당했다”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보안 투자를 불필요한 비용으로 간주하는 잘못된 인식이 이런 사태의 배경은 아닌지 한 번 되짚어봐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관계 당국은 숨겨진 추가 피해가 없는지 선제적 조사를 검토하고 기업들의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시민단체 서울YMCA 시민중계실도 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서울YMCA는 성명을 내고 “KT와 LG유플러스의 침해 사고 의혹 관련해 개인정보위원회가 조사해 사실 관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지난 7월 정부는 KT와 LG유플러스의 실태 점검 결과를 놓고 피해 없다고 단정했으나, 추후 재검토 중 또는 점검 중이라는 등의 방식으로 입장을 수차례 번복했다.

서울YMCA는 “정보 유출 가능성을 명확히 밝히지 않고 시간을 끌면 국민 불안이 방치될 뿐”이라면서 “피해 사실이 뒤늦게 확인될 경우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발생한다”라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현행법 상 기업이 자진 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정밀조사를 착수할 수 없다. 현재 KT와 LG유플러스가 해킹 여부를 놓고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해킹이 사실일 경우 피해가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서울YMCA는 “개인정보위가 신속하고 직접적인 조치에 나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최정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unghochoi559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