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셧다운 백악관 기자회견 …뉴욕증시 비트코인 반전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셧다운 백악관 기자회견 …뉴욕증시 비트코인 반전

트럼프 대통령/사진= 백악관 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 대통령/사진= 백악관
[속보] 트럼프 셧다운 "공식 선언" 백악관 공무원 대대적 해고 지시 …뉴욕증시 비트코인 반전

트럼프 대통령이 셧다운을 사실상 공식 선언했다. 1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의 예산안 요구를 절대 수용할 수 없다며 "우리는 셧다운을 겪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사실상 셧다운 공식선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백악관은 국무부등 정 행정부처에 공무원 해고도 지시했다. 이같은 셧다운 소동속에서도 뉴욕증시에서는 나스닥 다우지수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등이 상승 반전하고 있다.

미국 현지시간 자정까지 의회의 합의가 없다면 미국 정부는 실제 셧다운에 돌입하게 된다. 셧다운 시 미국 경제지표는 나오지 않고, 연방 인력은 무급 휴직으로 전환하게 된다.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달러와 위험 통화로 분류되는 원화는 동반 약세를 보였다. 뉴욕증시 3대 지수도 모두 하락세다.뉴욕 유가는 원유 공급 증가 우려 속에 이틀째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1.08달러(1.70%) 내린 배럴당 62.3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11월물 종가가 63달러를 밑돈 것은 지난 22일 이후 처음이다.

WTI는 변변한 반등 시도도 하지 못한 채 장 내내 내리막을 걸었다. 한때 2% 넘게 밀리면서 62달러 선이 위협받기도 했다.WTI는 전날 2.27달러(3.45%) 굴러떨어진 뒤 재차 크게 하락하면서 이틀 동안 5% 조금 넘게 빠졌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연합체인 OPEC+ 소속 8개국이 오는 5일 회의를 여는 가운데 11월 증산폭이 종전 하루 13만7천배럴에서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하루 50만배럴까지 증산폭이 확대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자 OPEC은 이를 부인했다. OPEC은 엑스(옛 트위터)에 올린 성명에서 "이러한 주장은 전적으로 부정확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다"면서 "현재 다가오는 회의와 관련된 장관들 간의 논의는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현재 약 55% 수준인 미국의 대중국 관세에 대해 "좋은 '현상 유지' 상태"라고 평가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그리어 대표는 인텔 사례처럼 미 정부가 기업 지분에 직접 투자하는 방안이 추가로 나올 수 있음을 시사했다.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 지분 보유를 검토하느냐는 진행자 질의에 "트럼프 대통령은 성과가 훌륭한 모든 기업에 대한 지분을 갖기를 원할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반도체법에 따라 승인된 보조금 등 89억 달러를 투자해 인텔 지분 9.9%를 확보한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이전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미국의 반도체 부흥을 위해 시작한 74억 달러(약 10조원) 규모의 핵심 기술 지원 계획을 사실상 무력화하고 있다고 미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가 보도했다.바이든 행정부는 반도체 연구개발(R&D)을 주도할 국립반도체기술센터를 운영하기 위해 비영리단체 냇캐스트(Natcast)를 설립했다.이 단체에는 엔비디아, 인텔, 삼성전자 등 200여 개의 세계적 기업이 회원사로 등록했다. 냇캐스트는 74억 달러의 기금을 운용하며 업계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R&D) 시설 및 인력 양성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냇캐스트를 "바이든 충성파의 주머니를 채운 반도체 비자금"이라고 비난하며 이 단체에 대한 지원을 철회하고, 자금 회수를 단행했다.그는 냇캐스트가 법적 기반이 허술하며 불법적으로 설립됐다는 법무부의 새로운 유권해석을 근거로 들었다. 그러면서 연방 기금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겠다며 기금 장악을 선언하고 나섰다.

반도체 업계는 극심한 불확실성에 휩싸였다. 인텔과 IBM, AMD 등 주요 기업들은 러트닉 장관의 결정 이후 상무부 관계자들과 개별적으로 접촉하며 자사의 프로젝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또 대부분의 기업은 향후 반도체 보조금 심사 과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것을 우려해 공개적인 반대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기업들은 행정부의 표적이 될까 두려워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