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오픈AI 데이터센터 구축 자금 일부 보증 방안 검토, GPU 의존도 완화 시도에도 대규모 차입 불가피

이 방안은 작년 9월 체결된 1000억 달러(약 143조 원) 규모 투자·칩 임대 계약을 한층 보강하는 조치로, 대출 상환 실패 시 엔비디아가 떠안게 될 잠재적 재무 부담까지 감내하겠다는 의미다.
지난달 구글 TPU 임대 통한 비용 절감 시도
오픈AI는 혁신적 AI 모델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자체 데이터센터 신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엔비디아 GPU 가격 급등과 초기 인프라 투자 부담이 크게 늘면서, 지난달 구글의 TPU(텐서처리장치)를 단기 임대해 머신러닝 학습·추론 애플리케이션에 투입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TPU 임대는 단기 비용 절감에는 효과적이지만, 장기적 성능 최적화 측면에서 엔비디아 GPU 의존도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했다”고 평가한다. 이로 인해 오픈AI는 여전히 엔비디아 칩을 중심으로 한 하드웨어 조달 전략을 수정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거액 차입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1000억 달러 파트너십의 재원 구조
엔비디아는 지난해 9월 오픈AI와 맺은 1000억 달러(약 143조 원) 패키지 중 내년에 100억 달러(약 14조 원)를 현금으로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여기에 더해 이번 차입금 보증 옵션이 실제로 실행되면, 오픈AI가 시용하는 대출의 일정 비율을 엔비디아가 공식 보증인으로 서게 된다.
한 투자은행 관계자는 “보증 규모가 수십억 달러에 이를 수 있어, 만약 오픈AI가 상환에 차질을 빚는다면 엔비디아의 대차대조표상 부채 비중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엔비디아 경영진은 금융 리스크 관리팀을 중심으로 보증 한도·이자율·상환 조건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순환 자금 흐름, 규제 감시 불가피”
금융권 안팎에서는 공급사와 수요사가 상호 자금을 순환시키는 구조가 반독점·회계 감독 관점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반독점 규제를 담당하는 전 미 연방거래위원회(FTC) 위원 조너선 마샬은 “거대 IT 기업이 핵심 고객에 자금을 직접 지원하고 보증을 제공하는 형태는 시장 지배력 남용 논란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회계 처리 측면에서도, 보증부채가 ‘우발 부채(contingent liability)’로 분류돼 재무 건전성 지표를 왜곡할 우려가 있다.
반면 시장 관계자들은 엔비디아의 전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한 벤처캐피털 파트너는 “엔비디아가 핵심 AI 개발사인 오픈AI에 대한 재무적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경쟁사 대비 장기 기술 주도권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처럼 양사는 보증 범위와 조건을 조율 중이며, 최종 결정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번 논의가 실제로 실행되면, AI 산업 전반의 자금조달 방식과 공급망 관계 재편에 핵심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