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AI 퍼스트' 문화로 게임계 모범 사례 제시"

글로벌이코노믹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AI 퍼스트' 문화로 게임계 모범 사례 제시"

1000억 원 들여 AI 인프라 구축
사내 AI 서비스 예산도 10배 확대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이사. 사진=크래프톤이미지 확대보기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이사. 사진=크래프톤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가 회사의 핵심 비전으로 'AI 퍼스트 기업'을 제시했다. 게임 개발과 직원 근무, 임원진 경영 등 전 분야에 걸쳐 AI를 전면 도입해 업계의 모범 사례를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크래프톤이 23일 진행한 사내 소통 프로그램 '크래프톤 라이브 토크'에서 김 대표는 "오늘부터 크래프톤은 에이전틱(Agentic) AI를 중심으로 업무를 자동화, 구성원들은 창의적 활동과 복잡한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AI 중심 경영 체계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에이전틱 AI란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고, 외부 도구와 연동해 복잡한 업무 자동화를 실행하는 AI를 뜻한다. 크래프톤은 에이전틱 AI의 전사 도입을 위해 2026년까지 총 1000억 원을 투자해 GPU 클러스터를 구축, AI 운영 인프라를 확립할 계획이다.

구성원들의 AI 업무 적용을 지원하는 별도의 예산 또한 책정된다. 오는 2026년부터 매년 300억 원의 예산을 편성한다는 계획으로 기존에 집행하던 AI 서비스 지원을 10배 이상 늘린 것이다.
AI의 적용에 따른 조치로 △AI 라운드테이블, 해커톤 등 행사 통해 AI 퍼스트 문화 정착 △'AI 러닝 허브' 구축해 학습·공유·실험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 △AI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연구 개발 조직에 대해 별도의 인력 운영 체계 도입 △사내 이동·역할 확장 기회 증가 등을 제시했다.

김 대표는 "크래프톤은 AI 퍼스트 전략을 통해 게임 산업 전반의 AI 혁신을 선도할 것"이라며 "AI 중심으로 일하는 운영 기준을 정립해 글로벌 게임 산업에서 참고할 수 있는 모 범사례를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