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에스윈드의 'AI 기반 제조 공정 최적화 사업'착수
美공장 'AI 에이전트'도입 타당성 검증 성과 기반 적용 확대
에이전틱 AI으로 생산·경영 영역에서 운영 효율성 강화
美공장 'AI 에이전트'도입 타당성 검증 성과 기반 적용 확대
에이전틱 AI으로 생산·경영 영역에서 운영 효율성 강화
이미지 확대보기SK AX는 6일 글로벌 풍력타워 제조기업 씨에스윈드가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기반 제조 공정 최적화를 위한 '웨이브 플랫폼 구축'사업에 착수했다. 씨에스윈드는 미국과 베트남, 덴마크, 포르투갈 등 7개 국가에서 생산법인을 운영하며 전 세계 해상·육상 풍력발전 구조물을 공급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이다. 최근 RE100과 IRA, 글로벌 공급망 재편, ESG 경영 강화가 본격화되면서 제조기업은 단순 비용 절감을 넘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운영 투명성, 리스크 예측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씨에스윈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 중심 조직 운영과 프로세스 혁신을 목표로 전사 AX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앞서 SK AX는 지난 8월 씨에스윈드 미국 공장에서 AI 에이전트 도입 타당성 검증을 진행했다. 기존 화이트보드로 수작업 관리되던 작업 현황판을 디지털 현황판으로 전환하고 데이터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축적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AI가 작업지시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AI 작업 지시서 서비스를 현장에 적용했다. 1000 여개에 달하는 방대한 작업지시서들이 실시간으로 관리되고 작업 병목구간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됐다.
AI가 매일 작업 우선순위를 데이터 기반으로 제안해 생산 흐름을 최적화했고 현장은 AI와 사람이 협력하는 에이전틱 AI기반 운영환경으로 전환됐다. 이번 구축사업은 타당성 검증 결과를 씨에스윈드 산하 미국과 포르투갈 법인에 적용해, AI 기반 생산 공정 최적화를 이루겠다는 목표다. 향후 전세계 7개 모든 법인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에 구축되는 웨이브 플랫폼은 전사적 자원 관리(ERP)와 생산 관리(MES) 등 주요 기간 시스템 데이터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연계해 실시간 조회와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국가별·사업장별 핵심 지표를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한다.
생산 영역 뿐 아니라 구매, 물류, 회계 등 사무 전 영역에도 엔터프라이즈 AI 워커를 도입해 구성원이 반복 업무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AI 중심 근무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AX는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 전환과 결합되어 글로벌 법인 간 연결성과 운영 유연성을 더욱 강화하게 된다.
원진희 씨에스윈드 최고 경영혁신 본부장은 "지난 8월 미국 공장에서 진행된 AI 에이전트 적용 결과를 통해 AX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SK AX와 함께 생산부터 경영까지 전 과정이 데이터와 AI 기반으로 전환되는 새로운 제조 모델을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민혁 SK AX 제조·글로벌 사업부문장은 "씨에스윈드와 함께 에이전틱 AI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제조 운영모델을 신재생에너지 산업 특성에 맞게 구현하겠다"며 "제조 분야에서 축적한 SK AX의 경험과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AX 혁신 성과를 조속히 이끌어내고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글로벌 제조 AX 생태계를 보다 폭넓게 확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반등...조정 반동으로 환매 부진도 나와](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