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사용자부터 소상공인, 기업까지 활용 가능해
네이버클라우드, 버티컬 AI 본격화…글로벌도 공략
최수연 대표, '네이버 임팩트' 방향성 공유
네이버클라우드, 버티컬 AI 본격화…글로벌도 공략
최수연 대표, '네이버 임팩트' 방향성 공유
이미지 확대보기6일 네이버는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팀네이버의 통합 컨퍼런스 '단(DAN)25'를 개최했다. 주요 서비스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전면에 도입하고 반도체·자동차·조선 등 핵심 제조 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 경쟁력을 높이는 등 서비스부터 기업간 거래(B2B)까지 아우르는 두 축의 AI 전략 방향성을 공개했다. 그중에서도 네이버 AI 에이전트 N(이하 에이전트 N)을 통해 개인사용자부터 소상공인, 기업까지 네어버가 그리는 AX를 공개했다.
네이버는 그동안의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쇼핑부터 검색과 광고 등에 이르기까지 주요 서비스에 순차적으로 고도화된 에이전트를 본격 도입할 예정이다. 내년 1분기에는 AI 쇼핑 서비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쇼핑 에이전트가 출시될 예정이며 2분기에는 통합검색이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진화한 'AI탭'을 선보일 계획이다.
키노트세션의 오프닝을 맡은 최 대표는 "사용자는 어떤 검색어를 입력할지 고민하지 않고 에이전트 N과의 대화만으로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원하는 콘텐츠·상품·서비스로 연결하고 실제 행동까지 수행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네이버는 서비스 전반의 데이터와 기술 인프라를 하나로 통합한 에이전트 N을 새롭게 구축했다"고 말했다.
에이전트 N으로 사용자 편의성 강화…자연스러운 광고 연결은 '덤'
에이전트 N은 '온-서비스 AI'를 통해 축적된 버티컬 AI 역량을 고도화해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다음 행동을 예측·제안하며 실행까지 완결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김범준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에이전트 N이 실제 서비스에 구현돼 구매와 결제까지 이어지는 사례에 대해 미리 공개했다.
김 COO는 "다양한 유형의 메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네이버만의 장점을 살려 쇼핑 에이전트의 경우 실제 구매자와 예약자만 남길 수 있는 리뷰, 판매자와 직접 연결된 재고 데이터 등 신뢰도 높은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술적 검증 체계도 갖췄다"고 설명했다.
에이전트 N이 리뷰나 판매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악용해 반복 노출을 통한 허위정보 제공이 가능하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대해 김 COO는 "예를 들어 상품의 경우 많이 팔린 것 뿐만 아니라 반품 여부도 확인하고 한 계정의 일주일 동안 수천 개 이상의 리뷰를 남겼다면 신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이같은 점을 활용해 사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원천데이터 확보를 위해 집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보기네이버클라우드, 버티컬 AI 통해 다양한 시장과 글로벌 공략
이날 네이버클라우드는 산업 특화 AI(일명 버티컬 AI)와 글로벌 시장 확장을 중심으로 한 산업 AI 전략을 공개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AI는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로 네이버는 자국의 언어·데이터·산업 구조를 가장 깊이 이해하는 기업으로 '소버린 AI 2.0’을 기반으로 산업별 버티컬 AI 모델을 구축해 가고 있다"며 "네이버클라우드는 제조·방산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 기술을 내재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 특화 AI 생태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조선과 에너지, 바이오 등 주요 산업의 기업들과 협력해 제조 전 과정의 AI 활용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이 기술을 사우디·태국·일본 등 글로벌 시장으로 확산해 소버린 AI 레퍼런스를 넓혀갈 것"이라며 "헬스케어·농업 등 AI 접근성이 낮은 분야에도 AI 기술 활용을 확대해 산업과 사회 전반의 AI 혁신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네이버 클라우드는 이와 동시에 글로벌 시장 공략도 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합작법인인 네이버이노베이션을 통해 재난·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태국의 시암AI와는 관광 에이전트 개발, 일본 이즈모시와 협업해 일본 초고령화 문제 해결 등 다양한 글로벌 협업을 진행 중이다.
끝으로 최 대표는 키노트 세션의 클로징에서 10여 년간 축적한 상생의 경험을 바탕으로, 임팩트 펀드 기반의 '네이버 임팩트'프로그램의 방향성을 공유했다. 네이버 임팩트를 통해 AI 기술을 기반으로 파트너들이 함께 경험을 공유하고 성장하는 물결효과의 확산을 도모한다. 이를 통해 네이버는 AI 교육과 기술 등의 격차를 줄이고 중소기업(SME)과 창작자, 로컬 사업자들이 AI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 도전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할 계획이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반등...조정 반동으로 환매 부진도 나와](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