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 4차 산업혁명 수준 세계 25위…주요국보다 성과·역동성 뒤처져

글로벌이코노믹

한국 4차 산업혁명 수준 세계 25위…주요국보다 성과·역동성 뒤처져

관련 상장사 매출 하락 추세…포괄적·장기적 관점에서 전략 마련 시급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회 제4차 산업혁명포럼 창립총회’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회 제4차 산업혁명포럼 창립총회’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이동화 기자]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디지털, 물리학, 생물학 등 경계가 없어지고 융합되는 기술 혁명을 의미하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한국의 준비 수준이 세계 25위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5일 발표한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 수준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스위스계 UBS 은행은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기술 수준, 교육수준, 인프라 수준, 법적 보호 등 5개 요소로 4차 산업혁명에 가장 잘 적응할 수 있는 국가들을 평가했다.

그 결과 한국은 25위에 그쳤다. 스위스가 1위였고 미국은 5위, 일본은 12위, 독일이 13위로 우리보다 앞섰다. 중국은 28위였다.
한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도 주요국보다 성과나 역동성에서 뒤처지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한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상장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2006~2010년 연 9.7%였지만 2011~2015년에는 1.8%로 떨어졌다. 반면 일본과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국들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의 매출액 증가율은 과거보다 올라갔다. 영업이익률도 한국 기업들은 2015년은 2011년보다 0.4%포인트 떨어졌지만, 일본 기업들은 같은 기간 1.0%포인트 올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등장으로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미래 산업구조 및 노동 시장 변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기업들은 공유경제 및 온디맨드 경제 등의 기술 기반 플랫폼 사업에 대해 포괄적 시각과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4차 산업혁명은 3D 프린팅과 사물인터넷(IOT), 바이오 공학 등의 기술이 융합돼 새로운 기술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역시 지난 7월27일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된 전경련 CEO 하계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에 발 빠르게 대응한다면 재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많은 국가들이 4차 산업혁명 등 미래전략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동화 기자 dh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