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학생 등록 제한은 하버드에 그치지 않고 다른 대학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는 경고가 이어지면서 유학생 등록을 통해 재정적 기반을 유지해 온 다수 대학들이 비상에 걸렸다.
23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와 민족적 괴롭힘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외국인 학생 등록 권한을 박탈했다. 이 결정은 최근 하버드를 포함한 일부 연구중심 대학들에 대해 연구지원금 중단 및 계약 취소 조치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하버드가 잃은 연구지원 규모는 최근 몇 주간 약 30억달러(약 4조9200억원)에 이른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로버트 켈첸 미국 테네시대 교수는 “이 결정은 하버드에 큰 타격을 주는 동시에 다른 대학들에도 ‘너희도 다음 차례일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교육부 산하 국립교육통계센터(NCES)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하버드대 전체 학생 2만5000여명 중 외국인 유학생은 6800여명으로 전체의 약 27%를 차지했다. 같은 해 1000명 이상이 재학 중인 미국 내 43개 대학에서는 유학생 비중이 하버드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컬럼비아대의 경우 전체 학생의 39%가 외국인이었고 전국적으로는 246개 대학에서 유학생 비율이 10% 이상이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가 하버드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크리스티 노엄 국토안보부 장관은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컬럼비아대를 포함한 다른 대학들에 대해서도 같은 조치를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물론이다. 이번 조치는 모든 대학에 보내는 경고”라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유학생이 일반적으로 전액 등록금을 내는 경우가 많아 이들이 타 학생의 장학금 지급을 실질적으로 보조하는 구조가 형성돼 있다고 지적한다. 척 앰브로스 전 미주리중앙대 총장은 “유학생 수입은 사실상 대학 재정의 보조금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번 조치는 단순한 학사 문제가 아닌 재정 타격”이라고 말했다.
이미 연방 정부의 연구비 축소로 예산에 타격을 입은 미국의 주요 대학들은 유학생 수입까지 제한될 경우 더 큰 재정난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켈첸 교수는 “이제 손대지 않은 것은 학생들의 학자금 보조뿐”이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언제든 여기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