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베트남, 트럼프의 환적 40% 관세 발표에 우려 표명

글로벌이코노믹

베트남, 트럼프의 환적 40% 관세 발표에 우려 표명

미국 수출품 20% 관세는 이전 46%보다 낮지만 여전히 부담
환적 정의 모호해 베트남 진출 中 기업 등에 큰 영향 우려
이번에 발표된 환적 관세는 베트남 기업뿐만 아니라 2010년대 후반부터 베트남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한 중국 및 기타 국가의 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이번에 발표된 환적 관세는 베트남 기업뿐만 아니라 2010년대 후반부터 베트남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한 중국 및 기타 국가의 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진=로이터
베트남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월 2일 발표한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해 세부사항 부족으로 인한 혼란을 드러냈다. 특히 환적에 대한 40% 관세가 베트남 기업들과 베트남에 진출한 외국 기업들에 큰 우려를 야기하고 있다고 3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발표한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상품에 대한 20% 관세는 이전에 제안된 46%보다 낮지만, 여전히 많은 베트남 기업들의 수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더욱이 환적에 대한 40% 관세는 베트남 기업뿐만 아니라 2010년대 후반부터 베트남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한 중국 및 기타 국가의 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데잔 시라 앤 어소시에이츠의 국제 비즈니스 자문관 댄 마틴은 닛케이 아시아와의 인터뷰에서 "46%의 고정 관세보다 분명히 더 나은 결과이지만, 이것이 현장에서 어떻게 작용할지 지켜볼 만큼 먼지가 가라앉지 않았다"며 "환적이라는 용어가 매우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환적이 한쪽 끝에서는 제품의 진정한 원산지를 가리기 위한 명확한 재라벨링을 가리키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베트남에서 완전히 합법적인 제조를 다룬다고 설명했다. 많은 기업들, 특히 의류, 전자제품, 신발 같은 부문의 기업들은 현지 가공이나 조립을 통해 상당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면서도 외국의 투입물을 활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업도 환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MUFG의 경제학자 마이클 완은 "이 40% 관세가 미국의 관세를 피하기 위한 명백한 무역 우회라는 가장 지독한 관행에만 시행된다면 그 영향은 더 제한적일 수 있다"면서도 "외국 부가가치의 특정 임계값으로 정의되는 환적에 대한 보다 엄격한 결정이 있는 경우 이 40% 관세의 영향이 뚜렷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닛케이 아시아의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당국과 현지 언론은 이 협정에 대해 보도했으나 20% 또는 40%의 관세율을 포함한 구체적인 관세율에 대해서는 아직 언급하지 않았다.

ISEAS-Yusof Ishak Institute의 객원 연구원 Nguyen Khac Giang은 "베트남 산업통상부가 최근 몇 달간 원산지 규정을 강화했지만, 베트남이 글로벌 제조업에 깊이 통합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메이드 인 베트남' 제품에 외국 요소가 전혀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며 "베트남의 진짜 수출품과 환적된 상품을 구별하는 모든 방법은 큰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장 기업들은 이 거래의 잠재적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 AKA Furniture JSC의 부사장이자 호치민시 수공예 및 목재 산업 협회 부회장인 Nguyen Chanh Phuong은 "세율이 온건하고 안정적인 수준으로 확정되어 기업들이 세율과 함께 살 수 있다는 것은 긍정적"이라면서도 "문제는 환적 조건이 복잡할 때 원산지와 공급망을 관리하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베트남 수산물 산업 관계자는 에콰도르와 인도와의 치열한 경쟁을 감안할 때 20% 관세가 베트남 수출업체에게 도전이 될 것이라며 "분명 우리는 관세가 0으로 인하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10%가 더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베트남의 최대 수입원이며 미국은 베트남의 최대 수출 대상국이다. 지난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의 수입액은 1440억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38%를 차지했고, 대미 수출액은 1190억 달러로 전체의 30%를 차지했다.

베트남 람 공산당 총서기는 7월 2일 트럼프와의 통화에서 미국이 베트남을 곧 시장경제로 인정하고 일부 첨단기술 제품에 대한 수출 제한을 철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