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종합]LG전자, 2분기 영업익 '반토막'…하반기 '질적성장' 반등 모색

글로벌이코노믹

[종합]LG전자, 2분기 영업익 '반토막'…하반기 '질적성장' 반등 모색

올해 2분기 매출 20조7400억원·영업이익 6391억원 실적 공시
트럼프發 관세강화·TV수요 위축이 직접 원인으로 작용
여의도 LG트윈타워. 사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여의도 LG트윈타워. 사진=글로벌이코노믹
LG전자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대비 절반 가까이 감소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강화 정책에 따른 대외환경 악화와 어려운 경제상황으로 촉발된 TV수요 감소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LG전자는 하반기 냉난방공조(HVAC) 등으로 대표되는 기업간거래(B2B)와 전장 등 질적성장에 더욱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20조7400억원, 영업이익 6391억원의 잠정실적을 공시했다. 이 수치는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4.4%, 영업이익은 46.6%가 감소한 것으로 LG전자는 “2분기 들어 본격화된 미국 통상정책 변화가 관세 비용 부담과 시장 내 경쟁심화로 이어지는 등 비우호적 경영환경이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주목되는 부분은 무려 46.6%에 달하는 영업이익의 감소다. 생활가전·전장·냉난방공조(HVAC) 사업은 비교적 건전한 수익성을 유지한 반면 TV와 모니터, PC 등의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MS사업본부의 부진이 수익성 감소의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수익성 감소의 또 다른 요인으로 지목된 것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강화 움직임이다. 관세강화 방침에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의 경제가 위축됐고 이는 곧 가전제품 수요 감소로 연결됐다. 또 가전제품의 원제료가 되는 철강·알류미늄 등에 부과되는 관세와 물류비 등의 증가도 무시할 수 없는 원가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LG전자는 기존 가전을 중심으로 기업대소비자(B2C) 중심 기업에서 HVAC를 비롯해 전장 등 B2B기업으로의 체질개선을 통해 어려운 상황을 돌파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다만 체질개선의 본격적인 성과는 내년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에 LG전자는 생활가전 분야에서 프리미엄 시장에서 지배력을 공고히 유지하고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사업에선 무선 신제품 출시 등으로 올레드 TV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한다. 전장 사업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안정적 수주잔고를 기반으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냉난방공조(HVAC) 사업은 상업용 공조시스템을 비롯해 유럽 시장 공략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번에 발표한 잠정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한 예상치다. LG전자는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2025년도 2분기 연결기준 순이익과 사업본부별 경영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