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부과 시점 3주 연장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 관세와는 별도 적용
"당장 큰불은 껐지만, 시장 불확실성은 여전"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 관세와는 별도 적용
"당장 큰불은 껐지만, 시장 불확실성은 여전"

8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는 상호관세 부과 시점을 다음 달 1일로 미루면서 철강·배터리 등 주요 업종은 일단 한숨을 돌렸다. 관세 문제가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지만 당장 관세 부과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기 때문이다. 트럼프가 상호관세가 현재 50% 부과되고 있는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별 관세와 중복 적용되지 않는다고 못 박은 점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만, 업계는 충격만 일시적으로 유예됐을 뿐 전반적인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불확실성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 역시 "수출 경쟁력 악화가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라며 관세 부과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품목별 관세에 대한 중복 적용 외에 구체적인 언급을 피한 점도 불안 요인이다. 미국 측이 해당 사안을 협의 대상에서 제외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웬디 커틀러 전 미국무역대표부(USTR) 부대표는 "이번 유예 조치는 미국이 한국과 일본의 핵심 요구사항인 자동차 관세를 포함한 ‘무역확장법 232조’ 품목별 관세 완화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