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아마존, 물류센터 합법 외국인 노동자 대거 해고…트럼프 이민 규제 여파 초강수

글로벌이코노믹

아마존, 물류센터 합법 외국인 노동자 대거 해고…트럼프 이민 규제 여파 초강수

지난해 12월 2일(현지시각) 미국 뉴저지주 로빈스빌에 위치한 아마존 물류센터에서 근로자들이 ‘사이버 먼데이’를 맞아 상품을 분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해 12월 2일(현지시각) 미국 뉴저지주 로빈스빌에 위치한 아마존 물류센터에서 근로자들이 ‘사이버 먼데이’를 맞아 상품을 분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적 체류 허가 프로그램’의 종료를 지시하면서 그 여파로 합법 체류 외국인 노동자들의 대량 해고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3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미국의 인도적 체류 허가 프로그램은 국토안보부가 인도주의적 사유나 공익 목적을 이유로 정식 비자 없이 외국인을 일시적으로 합법 입국·체류·노동할 수 있게 허용한 제도를 말한다. 이 프로그램은 인도주의적 체류·노동 권한을 부여받은 외국인에게 중요한 합법 지위였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이를 종료함으로써 체류와 노동 모두 사실상 중단되며 대규모 해고 사태가 발생한 것.

◇ 인도적 체류 종료로 아마존·물류업계 직격탄


NYT에 따르면 오하이오주 웨스트제퍼슨의 아마존 물류센터에 근무하던 프란츠디 제롬(35)은 지난해 입사 당시 “신뢰할 수 있고 헌신적인 직원”으로 인정받았고 나아가 로봇 수리 업무까지 수행했지만 지난달 말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적 체류 프로그램 종료 조치로 노동허가가 철회돼 이달 초 해고됐다.
이 프로그램 덕분에 쿠바, 아이티,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등에서 온 정치 망명 신청자들은 신속한 노동허가를 받아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체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난 5월 30일 미 연방대법원이 트럼프 대통령의 프로그램 종료를 승인했고 지난달 12일 국토안보부가 공식 통지에 나서자 아마존은 지난달 22일 관리자들에게 해당 목록을 전달하고 다음 날 노동 허가 갱신 불가능 시 해고 통보를 지시했다.

◇ “수백 명 해고…프라임데이 직전 인력 공백 우려”


NPY는 이같은 해고 조치가 웨스트제퍼슨뿐만 아니라 매사추세츠, 뉴욕 스태튼아일랜드, 플로리다 등 미 전역에 있는 1000여개의 아마존 물류센터에서 이뤄졌다고 전했다. 물류센터뿐 아니라 자동차 부품 공장·매장 등에서도 수백 명이 잘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해고 시점이 아마존의 최대 연례 쇼핑 행사인 ‘프라임데이’ 직전이라는 점에서 풀타임·초과근무 인력이 급감해 배송 지연 및 서비스 차질이 우려된다고 NYT는 지적했다.

아마존 측은 성명을 통해 “정부 정책 변화에 대응해 직원들을 지원 중”이라며 “법률 서비스 등 외부 무료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억제 정책…“인력 부족 현실 외면”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조 바이든 행정부의 ‘디스크레션 이민 정책’을 리셋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이 정책은 미국 이민 당국이 불법체류자에 대한 단속과 추방을 모든 경우에 무조건 집행하지 않고 우선순위를 두고 재량적으로 대응하는 정책이다.

그러나 미국 경제 특히 중서부 지방은 이미 외국인 노동자에 크게 의존 중이며 노동 공백과 인플레이션 압박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NYT는 아마존 등의 물류센터에서는 아이티, 아프간, 부탄, 소말리아 등 인력의 상당 부분을 외국인 노동자들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