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파월 해임 계획 없어"…가능성은 열어둬 논란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파월 해임 계획 없어"…가능성은 열어둬 논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지난달 25일(현지시각) 워싱턴DC 의회 의사당에서 열린 상원 은행·주택·도시문제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반기 통화정책 보고와 관련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지난달 25일(현지시각) 워싱턴DC 의회 의사당에서 열린 상원 은행·주택·도시문제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반기 통화정책 보고와 관련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해임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면적으로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이 금리를 낮추지 않는 점을 거듭 비판하면서도 해임 사유로 ‘사기’ 가능성을 언급해 시장 불안을 키웠다.

17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무것도 배제하지 않지만 그가 사기 혐의로 물러나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해임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같은 발언은 앞서 블룸버그통신이 ‘트럼프 대통령이 곧 파월 의장을 해임할 수 있다’고 보도한 후 나왔다.

◇ 연준 독립성 논란…“정치적 이유로 해임하면 미국 신뢰 훼손”

최근 연준이 추진 중인 워싱턴DC 청사 건물 리노베이션 사업과 관련해 25억 달러(약 3470억원)에 달하는 예산 집행을 두고 백악관과 일부 공화당 의원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는 이 문제를 파월 해임 사유로 거론했다. 다만 현재까지 이 사업과 관련한 사기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 25일 상원 은행·주택·도시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자신의 임기를 끝까지 마칠 의향을 재확인한 바 있다. 그는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의 지명으로 연준 의장이 됐고 2022년에는 조 바이든 대통령에 의해 연임돼 임기는 2026년 5월 15일까지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최근 연준 의장이 정책 차이만으로는 해임될 수 없다는 기존 법 해석을 재확인한 바 있다.

공화당 소속 톰 틸리스 상원의원은 “정치적 이유로 연준 의장을 해임하는 것은 엄청난 실수가 될 것”이라며 “미국의 경제적 신뢰를 심각하게 해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인 존 튠 의원도 “트럼프 대통령이 해임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연준 압박 계속될 것…인플레이션 우려 되레 키워”


트럼프는 파월 의장이 기준금리를 4.25~4.50% 범위에 계속 유지하고 있는 점을 두고 “끔찍한 의장”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고금리 때문에 미국 정부의 차입 비용이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2조달러(약 2776조원) 규모의 감세·지출 법안인 ‘빅 뷰티풀 빌’에 서명한 이후 연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같은 압박이 연준의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JP모건의 마이클 페롤리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의 독립성이 약화되면 인플레이션 기대가 오르면서 장기 금리가 올라 정부 차입 비용도 늘어날 수 있다”며 “이번 사태가 쉽게 끝날 일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파월 의장의 후임 인선과 관련해 공식 절차가 시작됐다는 보도도 나왔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가운데 케빈 해싯 백악관 경제자문위원,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도 후보군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