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21조8737억원·영업이익 6889억원 기록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1.4%, 영업이익은 8.4% 감소했다. LG전자는 “미국 관세, 전기차 캐즘 등 영향에도 가전과 전장 사업이 특히 선전했다”면서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따른 ‘질적 성장’ 영역 성과도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기업간거래(B2B)(전장, 냉난방공조 등) △비하드웨어(구독, webOS 등) △소비자직접판매(D2C) 등이 이에 해당한다. 3분기 B2B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 늘어난 5조9000억원, 가전구독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늘어난 7000억원을 기록했다.
HS사업본부는 3분기 매출 6조5804억원, 영업이익 3659억원을 기록했다. 프리미엄과 볼륨존을 동시에 공략하는 ‘투트랙 전략’과 구독, 온라인 사업 확대가 성장에 기여했다. 생산지 최적화, 효율성 제고 등 노력이 관세 영향을 상당 부분 상쇄하면서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늘었다.
LG전자는 4분기 글로벌 가전 시장의 수요 회복 지연과 경쟁 심화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구독, 온라인 사업을 지속 확대하며 ‘질적 성장’ 영역 중심의 성장세를 유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원가구조 개선과 고정비 절감 또한 지속해 전년 동기 대비 수익성 개선도 추진한다.
LG전자는 TV 사업에서 운영 효율화와 수익성 개선에 역량을 집중한다. △광고사업 고도화 △콘텐츠 확대 등을 통한 webOS 플랫폼 사업 기반을 확대하고 상대적으로 수요가 견조한 글로벌 사우스 공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VS사업본부 3분기 매출 2조6467억원, 매출 1496억원 거뒀다. 매출은 3분기 최대,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치로 분기 영업이익률이 5%를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4분기는 미국 전기차 보조금 정책 등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이 일부 있을 것으로 보이나 지속적인 제품 믹스 개선과 원가 구조 개선,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를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ES사업본부는 사업은 매출 2조1672억원, 영업이익 132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국내 시장 판매 확대와 구독, 온라인 사업 성장으로 늘었고 영업이익은 투자 확대 영향에 소폭 줄었다. LG전자는 4분기 지역 맞춤형 제품 출시 등으로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상업용 공조시스템 및 산업/발전용 칠러를 앞세운 사업기회 발굴에 주력한다.
최근 북미·중남미·중동·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서 AI 데이터센터(AI DC) 냉각솔루션 수주가 이어지는 등 성과가 차츰 가시화되는 만큼 이를 레퍼런스로 삼아 사업의 잠재력을 지속 확대해 간다는 계획이다. 차세대 기술로 평가받는 데이터센터향 액체냉각 솔루션의 상용화와 액침냉각 솔루션 개발을 위한 파트너쉽 확대 또한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간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


 
							 
							 
							 
							 
							






 
					



![[뉴욕증시] 아마존 강세 속 3대 지수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0105294402113be84d87674118221120199.jpg)






![[초점] 롯데·인도네시아 국부펀드, 5조4000억 '메가딜' 가시화](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0107485000997fbbec65dfb2101781272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