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얀(1903~1989)은 젊은 시절에 토스카니니를 숭배하여 직설적 연주를 했다. 후반에 그는 유럽음악의 전통을 현대인의 지성으로 인품 있는 대가가 된다. 독일의 지휘자, 자바릿슈(1923 ~ )는 본래의 조형을 파악하고 비범한 해석으로 곡의 생명력을 끌어낸다.
연주는 작곡가의 원보 자체를 음으로 재현해야 하며 그의 정신을 추구하고 현대적 지성과 감성을 억제하고 통일해 나간다. 예술에 대한 기본자세는 음악의 현대적 매력을 발산하며 정연한 스타일에 다이내믹이 배합될 때 음악적 액션이 충만한 연주를 할 수 있다.
이지적이며 정서가 강한 연주는 전 시대적이며 구태의연한 연주 궤도에 갇힐 위험이 있고 주관과 객관이 교묘하게 자리 잡는 표현의 절제가 필요하다. 피아노 기교의 현대성은 기제킹(Gieseking Walter, 1895~1956)의 등장으로 즉물적이고 세부적 표현이 취해진다.
연주는 곡의 관점에서 음악적인 이해보다 인간성의 존재까지 파고들어 감명 깊고 커다란 독자성을 형성한다. 음과 연주의 감미로운 맛을 버리고 작품 자체만은 단정히 표현한다. 악보에만 의존하기보다 곡의 높은 음악성을 인정하고 기교적이며 압도적 연주를 한다.
오페라 가수 샤리아핀(Chalapin Feodor, 1873~1938)은 독자적인 입장에서 노래와 연기를 하며 음악적으로 정확하지 않지만 자기 스타일을 만드는 이색적인 가수이다. 현존하는 바리톤 가수 피세 디자카우(Fische Diesacau Dietrch, 1925 ~ )도 같은 맥락을 가진다.
성악은 악보의 깊이와 정확성이 중요한데, 표현 과잉은 금물이며 작곡가의 요구를 잊어서는 안 된다. 자기류의 해석은 있지만 악보의 작은 기호와 액센트라도 충실히 묘사한다. 작곡가와 연주가가 분리된 이래 악보는 점차 엄밀해지고 상품이 되어 보급된다.
악보로 된 음악 작품은 변하지 않는 부동의 존재로서 모방할 만한 이상적 원형은 아니다. 그것은 다양하게 실현될 이념이며 연주란 이념으로서 창조적 행위이다. 작품 연주는 원보에 지시가 없어도 연주가는 기호보다 다양한 사적 자료에 잠재된 지식을 습득한다.
객관적 연주는 주관적 과장을 배격하며 과거 작품의 재현은 역사성을 반영한 연주가 효과적이다. 곡의 해석을 작품 파악의 태도로 본다면 해석 없는 연주란 불가능하다. 주관적 해석이라도 표현에 있어 너무나 동떨어진 해석은 있을 수 없다.
현대의 연주 무대는 합성 이미지로 전환되어 연주의 리얼리즘이 강화되고 청중과의 상호교류도 중시된다. 연주가는 작곡가가 의도한
대로의 정신 감동을 재현 함에 있어 해석의 특권을 남용해서는 안 되며, 과분한 충실과 기계적 연주로 생기를 잃어서는 안 된다.
해석은 다양하며 어느 방편을 쓰든지 연주가의 특권이다. 예술가는 개성적 원칙에 제약받아 스스로 어떤 스타일의 모양을 만들기 마련이다. 연주 그 자체는 재창조이며 연주가의 특성이 전혀 도외시된다면 예술 창조적 연주는 불가능하다.
현대는 작곡가의 처지에서 연주가의 개성을 뒷전으로 하고 그들에게 말려 들어가는 것을 제한하고 견제한다. 연주가의 특성이 강조되면 작품이 왜곡되는 수가 많다. 신즉물주의 연주 양식은 작품 정신에 충실할 것과 곡의 양식에 맞는 연주 양식이 필수적이다.
시대양식과 원보를 수용하고 불충분한 점을 역사적 자료와 고찰 등으로 보완한다. 작곡 당시의 원형의 재현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과거의 음악적인 지식도 한계가 있고 옛날의 청중과 달리 오늘의 팬은 시대양식에 관한 호응에 제한이 있다.
현대인은 속도감이 빨라지고 과거 귀족들이 좁은 장소에서 음악을 즐길 때와 천양지차로 지금은 넓은 홀에서 연주한다. 과거와 현재의 연주 기술은 사운드의 폭과 음향 상태 등 다방 면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다.
연주는 고정된 방식은 위험하다. 연주를 즉물적으로 감행하기보다 그 작품이 품은 시대와 개인의 양식에 걸맞은 연주 방향으로 변모해야 한다. 고귀한 인격적 표현 없이 손재주만 놀린다면 드뷔시의 말대로 주관이나 객관적 연주나 매력은 서커스에 지나지 않는다.
연주가의 숭고하고 영적 표현 없이는 청중에게 감동을 줄 수 없고 만인에게 환영받는 예술가도 존재하지 않는다. 찰리 채플린 감독의 「서커스」(The Circus, 1990)가 실례가 된다.